반응형

미녀와 야수 (1991), Beauty and the Beast


ⓒ Walt Disney

<스탭>

◈ 원작: 쟌 마리 르 프랭스 드 보몽(Jeanne Marie Le Prince de Beaumont)의 '미녀와 야수(La Belle et la Bête)'
◈ 감독: 게리 트러스데일(Gary Trousdale), 커크 와이스(Kirk Wise)
◈ 각본/스토리: 린다 울버튼(Linda Woolverton) / 로져 알러스(Roger Allers), 브렌드 채프먼(Brenda Chapman) 외
◈ 음악/작사: 알란 멘켄(Alan Menken) / 하워드 애쉬먼(Howard Ashman)
◈ 기획: 하워드 애쉬먼
◈ 프로듀서: 돈 한(Don Hahn)
◈ 제작 프로듀서: 존 레스터(John Lasseter), 사라 맥아더(Sarah McArthur)
◈ 편집: 존 카노찬(John Carnochan)
◈ 프로덕션 디자인: 브라이언 맥엔티(Brian McEntee)
◈ 미술 스탭: 켈리 아스베리(Kelly Asbury) 외
◈ 애니메이터 스탭: 글렌 키엔(Glen Keane) 외
◈ 제작/배급: 월트 디즈니 피쳐 애니메이션 / 월트 디즈니 픽쳐스
◈ 저작권: ⓒ Walt Disney
◈ 일자: 1991.11.22 (북미) / 1991.11.13 (월드 와이드)
◈ 장르: 드라마, 로맨스, 뮤지컬, 세계명작, 판타지
◈ 구분/등급: 극장판 / 전연령가 (G)


<캐스팅>

◈ 벨: 페이지 오하라(Paige O'Hara)
◈ 야수: 로비 벤슨(Robby Benson)
◈ 가스통: 리차드 화이트(Richard White)
◈ 루미에: 제리 오바치(Jerry Orbach)
◈ 콕스워스: 데이빗 오그던 스타이어스(David Ogden Stiers)
◈ 폿트 부인: 안젤라 란스베리(Angela Lansbury)


<줄거리>

거지로 변신한 마녀의 구걸을 거절했던 이기적인 왕자가 마녀의 저주를 받아 흉측한 괴물로 변하고 만다. 마녀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왕자 뿐만 아니라 그의 하인들과 성까지 모두에게 저주를 걸었으니, 저주를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21살이 되기 전까지 누군가의 진정한 사랑을 받아야 한다는 것. 인간의 모습이었을 때도 이기적이고 못된 심성으로 사랑을 할 수 없던 왕자는 이제 외모까지 흉측한 괴물로 변해 과연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받을 수 있을 것인가.

그로부터 오랜 세월이 흐른 어느날, 근처 작은 마을에서 괴짜 발명가 아버지를 모시고 밝고 명랑하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소녀 벨은 같은 마을의 청년 가스통의 끈질긴 구혼을 받고 있었다. 마을 최고의 인기남이지만, 거만하고 배려심 없는 가스통에게 관심이 없는 벨. 꿈많고 낭만적인 그녀의 시선은 작은 마을이 아닌 미지의 어느 곳을 향하고 있다. 어느 날 길을 떠났던 아버지가 돌아오지 않고 타고 갔던 말만 돌아오자, 벨은 아버지를 찾아서 용감하게 길을 나선다. 말의 안내로 저주받은 성까지 다다른 벨, 벨의 아버지는 그 성에 갇혀 있었는데, 놀랍게도 말을 하는 무서운 야수가 그녀의 아버지를 강금하고 있었다. 그녀의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벨은 용감하게도 자기가 대신 야수의 죄수가 되겠다는 말을 꺼내는데...


<소개>

'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1937)'를 시작으로 해서 디즈니가 만들어온 만화영화 중 30번째 극장 만화영화이자 '인어공주(1989)'로 새로운 부흥기에 접어든 디즈니의 두번째 빅히트작. 직전년도에 '코디와 생쥐구조대(1990, The Rescuers Down Under)'가 제작되긴 했으나 흥행성적은 그리 뛰어나지 못했다. 디즈니 르네상스 시대에 만들어진 세번째 작품이지만, 실질적으로 인어공주의 바통을 이어간 두번째 주자는 이 작품 미녀와 야수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 하다.

미녀와 야수의 기획 역시 인어공주와 동일하게 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가 만들어졌던 19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백설공주의 후속작 중 하나로 미녀와 야수를 기획했던 창립자 월트 디즈니는 실제 스토리 작업까지 진행시키지만, 최종 제작까지는 이르지 못했었다. 세월이 지나 1980년대 말에 이르러서야 디즈니는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는가(1988)'에 참여했던 리챠드 윌리암스를 영입하여 미녀와 야수의 프로젝트를 부활시켰으나 연출자가 교체되는 등, 프로젝트의 진행은 그다지 순탄치 못했던 듯 싶다.

1989년 인어공주가 성공을 거두자, 디즈니 스튜디오의 수장 제프리 카첸버그는 인어공주의 두 감독 론 클레멘츠와 존 머스커를 이 작품의 감독으로 다시금 기용하고자 했지만, 인어공주에 온 힘을 쏟아부었던 그들은 이 제안을 거절하고 만다. 결국 미녀와 야수의 연출은 당시 신예였던 게리 트러스데일과 커크 와이스에게까지 넘어가게 되는데, 두 신예 연출자의 기용이 후일 신화로 거듭날 이 작품의 발목을 잡을 정도의 선택이 아니었음은 이미 모두가 다 아는 사실이다. 디즈니의 인프라는 그러한 것들을 보충하고도 남음이 있었던 것이다.

미녀와 야수에서 특이한 점은 각본가의 영입이다. 일반적으로 만화영화는 스토리보드가 영화의 각본을 대신하는데, 미녀와 야수는 이런 전례를 깨뜨리고 각본을 먼저 쓴 다음,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보드가 만들어지게 된다. 제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시점에서는 인어공주와 같은 뮤지컬 드라마로 제작할 것이 결정되는데, 이로 인해 하워드 애쉬먼과 알란 멘켄이 다시금 의기투합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미녀와 야수가 인어공주의 성공방식을 이어가는 작품임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당시 AIDS에 걸려 있던 하워드는 미녀와 야수의 개봉을 미쳐 보지도 못한 체 91년 3월에 세상을 뜨고 만다. 미녀와 야수는 하워드와 알란 콤비의 마지막 작품이기도 한 셈이다.

전작인 코디와 생쥐구조대에서 사용되어 좋은 평가를 받았던 CAPS(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System) 기법은 이 작품에서도 당당하게 한축을 담당한다. 인어공주를 마지막으로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제작에서도 셀 애니메이션이 아닌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 아직 3D가 등장하기 전에 디즈니가 선보인 이 CG 기법은 뛰어난 선명도로 많은 관객들을 사로잡게 되는데, 특히 벨과 야수의 무도회 장면은 2D임에도 불구하고 다중 레이어와 다중 시점 등을 사용하여 3D에 가까운 비주얼을 구현해 내 영상적으로도 이전 디즈니의 작품보다 진일보한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하게 된다. 단, 이 CAPS에 픽사의 기술이 투입되었다는 사실은 이후 북미 애니메이션 판도의 변화를 가늠케 하는 중요한 단서이기도 하다.

기존의 동화적 스토리에 현실적인 터치를 가미하고 주변 캐릭터들을 활용하여 코믹한 상황을 연출시키며, 감동과 코미디를 오가는 맛갈스런 이야기의 향연은 인어공주를 거쳐 미녀와 야수에서도 변함이 없다. 전작의 인기 캐릭터(아니 가재) 세바스찬에 버금가는 루미에와 콕스워스 콤비부터 '제시카의 추리극장'으로 올드 미드팬들에게 익숙한 안젤라 란스베리가 분한 포트 부인의 포근함, 원작에 없는 캐릭터이지만 매력적인 악역으로 작품의 한쪽을 빛나게 한 가스통 등 캐릭터들의 아우라는 인어공주에 이어 이번 미녀와 야수에서도 발군이다. 인어공주보다 더 다양해진 캐릭터들의 군상은 미녀와 야수를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포인트이기도 하다.

야수와 미녀의 사랑이라는 이야기 주제 또한 인어공주에 비해 보다 더 성인층, 특히 여성층이 공감할 요소를 많이 갖고 있다. 사납지만 우스꽝스럽고 서툰 야수의 매력이 화면 내내 영리하고 아름다운 벨과 잘 어우러지며 멋진 화학작용을 보여주는 부분은 미녀와 야수의 코미디적인 요소와 함께 극을 이끌어가는 단단한 버팀목이다. 클라이막스에서 극적으로 인간 남자로 부활하는 야수의 모습 역시 극의 대미와 판타지를 완성하는 상투적이지만 감동적이고 적절한 클리셰이기도 하다. 이후 제작되는 디즈니의 르네상스 시기의 어떤 작품보다도 멜로 드라마로서의 완벽한 공식을 갖춘 작품이 바로 이 미녀와 야수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미녀와 야수는 박스오피스로 무려 4억불을 상회하는 수입을 거둬들이는데, 이는 인어공주의 두 배를 뛰어넘는 성과였다. 흥행뿐만 아니라 비평에서도 찬사가 끊이지 않았으며, 만화영화로서는 사상최초로 아카데미 작품상에 노미네이트되는 기염을 토하게 된다. 아쉽게도 작품상을 수상하지는 못했지만('양들의 침묵'이 작품상 수상) 아카데미 음악상과 주제가상을 수상하며 그 저력을 보여주었으며, 만화영화로서 작품상 후보에 오른 이 놀라운 사건은 이 픽사의 'UP(2009)'이 작품상 후보에 오르기 전까지 무려 18년 동안 깨지지 않는 기록으로 남게 된다. '라이온 킹 3D' 버전의 성공과 함께 미녀와 야수도 3D로 다시 제작되어 2012년 1월 북미에서 재개봉되어 큰 호평을 얻게 된다.



미녀와 야수, 마법의 크리스마스 (1997), Beauty and the Beast, Enchanted Christmas


ⓒ Walt Disney

<스탭>

◈ 감독: 앤디 나이트(Andy Knight)
◈ 저작권: ⓒ Walt Disney
◈ 제작/배급: 디즈니툰 스튜디오 / 월트 디즈니 홈 비디오
◈ 일자: 1997.11.11
◈ 장르: 드라마, 로맨스, 세계명작, 판타지
◈ 구분/등급: OVA / 전연령가 (G)


<소개>

벨과 야수가 크리스마스 파티를 맞이하여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다룬 비디오 애니메이션. 극장 애니메이션에서 인간으로 돌아온 왕자가 다시 야수로 등장하는 등, 극장판의 뒷 이야기라기보다는 스핀 오프에 해당하는 작품이라 볼 수 있다.




미녀와 야수, 벨의 마법세상 (1998), Beauty and the Beast, Belle's Magical World


ⓒ Walt Disney

<스탭>

◈ 감독: 쿨렌 블레인(Cullen Blaine), 다니엘 데 라 베가(Daniel de la Vega) 외
◈ 저작권: ⓒ Walt Disney
◈ 제작/배급: 디즈니툰 스튜디오 / 월트 디즈니 홈 비디오
◈ 일자: 1998.02.17
◈ 장르: 드라마, 로맨스, 세계명작, 판타지
◈ 구분/등급: OVA / 전연령가 (G)


<소개>

옴니버스 형식의 비디오 애니메이션. '완전한 세상', '피피의 어리석은 행동', '폿트 부인의 파티', '부러진 날개'의 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 사이트>

[1] Beauty and the Beast (1991 film), Wikipedia
[2] Beauty and the Beast (1991), IMDB
[3] 미녀와 야수, 엔하위키 미러
[4] Beauty and the Beast: The Enchanted Christmas, Wikipedia
[5] Beauty and the Beast: Belle's Magical World, Wikipedia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Walt Disney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어공주 (1989), Little Mermaid 


ⓒ WALT DISNEY


<정보>

◈ 원작: 한스 크리스챤 안델센의 '인어공주'
◈ 감독/각본: 론 클레멘츠(Ron Clements), 존 머스커(John Musker)
◈ 캐릭터 디자인/애니메이션 감독: 글렌 킨(Glen Keane) / 던칸 마저리뱅크스(Duncan Marjoribanks), 글렌 킨
◈ 아트디렉터: 마이클 A. 페라자 쥬니어(Michael A. Peraza Jr.)
◈ 음악: 알란 멘켄(Alan Menken), 하워드 애쉬먼(Howard Ashman) - 작사
◈ 기획/제작: 하워드 애쉬먼, 존 머스커
◈ 제작사/배급사: 월트 디즈니, 실버 스크린 파트너스 IV / 월트 디즈니, 부에나 비스타
◈ 저작권: ⓒ WALT DISNEY
◈ 일자: 1989.11.14
◈ 장르: 드라마, 로맨스, 뮤지컬, 세계명작, 판타지
◈ 구분/등급: 극장판 / 전연령가(G)


<캐스트>

◈ 인어공주 아리엘(Ariel): 조디 벤슨(Jodi Benson)
◈ 에릭 왕자(Eric): 크리스토퍼 다니엘 반스(Christopher Daniel Barnes)
◈ 세바스챤(Sebastian): 사무엘 E. 롸이트(Samuel E. Wright)
◈ 스커틀(Scuttle): 버디 해켓(Buddy Hacjett)
◈ 플라운더(Flounder): 제이슨 마린(Jason Marin)
◈ 우슬라(Ursula): 팻 케롤(Pat Carroll)
◈ 트리톤 왕(Triton): 케네스 마스(Kenneth Mars)


<시놉시스>

깊은 바다 속 왕국의 인어공주 에리얼은 천상의 목소리를 가진 16살의 소녀로, 바다 속 세계에 만족하지 못하고 인간 세상을 동경하고 있다. 에리얼의 아버지이자 바다왕국의 왕 트라이톤은 지상의 인간들과 바다 속 인어들의 접촉을 엄격하게 금하고 있었지만,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에리얼의 마음은 쉽사리 꺾이지 않았다. 

어느날 밤, 친구 플라운더와 신하 세바스챤을 데리고 수면으로 나온 에리얼은 인간 왕국의 왕자 에릭을 멀리서 보고 사랑에 빠지고 만다. 때마침 불어닥친 폭풍에 에릭 왕자의 배는 좌초되고, 물에 빠져 의식을 잃은 에릭을 에리얼이 구해내게 된다. 아름다운 목소리로 왕자에게 노래를 부르는 에리얼, 그녀의 목소리에 에릭은 정신을 되찾고, 에리얼은 황급히 자리를 뜨고 만다. 에릭은 비록 얼굴을 보지는 못했지만 자신을 구해준 그 아름다운 목소리를 잊지 못하게 된다.

한편, 딸의 행동을 눈치 챈 트라이톤 왕은 격노하게 되고, 에리얼은 에릭을 향한 마음으로 크게 낙담하고 만다. 이 때, 한쌍의 뱀장어가 에리얼에게 접근한다. 플롯섬과 젯섬이라 불리는 이 장어들은 그녀에게 지상의 왕자와 함께 하고 싶다면 마녀 어슐라를 찾아가 볼 것을 권하게 되는데...


<소개>

1966년 디즈니의 창립자인 월트 디즈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디즈니 애니메이션 역시 공교롭게도 추락의 길에 접어들기 시작했다. 회사의 정신적인 지주를 잃었으니 제 아무리 디즈니 왕국이라도 흔들렸을 수 있겠지만, 스티븐 스필버그의 '죠스(1975)' 이래 조지 루카스의 '스타워즈(1977)', 리챠드 도너의 '슈퍼맨(1978)', 그리고 스필버그의 'E.T(1982)'로 이어지는 일련의 블록버스터 오락 영화의 등장은 영화계나 만화영화계나 이전과는 다른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동시에 디즈니는 그러한 흐름을 따라잡지 못해 뒤쳐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해야 했으나 디즈니는 이에 발빠르게 대처하지 못했던 셈이다.

70년대 들어 큰 히트작을 내지 못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암흑기는 80년대 들어서도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물론 새로운 시대에 맞춰 디즈니도 SF 영화 '트론(1982)'과 같은 디즈니 답지 않은(?) 실사영화(디즈니는 50년대부터 실사영화를 만들어 왔으며, 6~70년대 들어서는 그 비중이 더더욱 커지게 된다. 단, 주목할만한 작품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될 듯. 트론의 경우 천7백만 달러의 거대한 제작비를 들여 3천3백만 달러의 괜찮은 흥행성적을 거둬들였지만, 82년 최대의 히트작인 E.T라는 거대한 벽을 넘을 수는 없었으니 안타까운 비운의 작품인 셈이다.)를 들고 승부수를 던졌지만, 디즈니의 원동력인 애니메이션의 불빛이 사그러든 상태에서 시도한 실사영화로의 도전은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이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분야에 집중해야 되는 비즈니스의 기본 원칙에 충실히 하지 못한 당연한 귀결이기도 했다.(이후로도 디즈니의 실사영화는 대체적으로 범작에 그치는 결과를 보여주는데, 이는 2003년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가 세상에 나오기 전까지 계속된다.)

80년대 초반까지 만화영화보다는 실사영화에 치중하던 디즈니는 85년도부터 다른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 자신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기 시작한 것이다. 즉 만화영화로의 회귀가 그것이었는데, 1984년 마이클 아이스너 회장, 그리고 제프리 카첸버그 모션 픽쳐스 그룹 책임자의 부임부터 시작된 이 디즈니의 부활 프로젝트는 비록 '블랙 칼드론(1985)'에서 천문학적 제작비에도 불구하고 손익분기점도 넘치 못하는 참패를 거두긴 했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만화영화의 투자를 계속하였고, 그로부터 4년 뒤 디즈니 역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을 만드는 작품을 만들어 내게 되니, 이것이 바로 디즈니 부흥의 신호탄을 알린 동시에 디즈니 제2의 황금기를 열어준 기념비적인 작품 '인어공주(1989)'인 것이다.

ⓒ WALT DISNEY



한스 크리스챤 안델센의 대표적인 동화를 각색한 인어공주는 분명 이전까지 디즈니가 선보였던 일련의 세계명작동화 스타일의 만화영화와 같은 성격을 가진, 말하자면 고전적인 테마를 공유하는 작품이었다. 실제로 인어공주는 '백설공주와 일곱난장이(1937)' 이후 기획되었던 후속 프로젝트 였으나 모종의 이유로 제작이 중단되었던 작품이었다. 60년대 이후로 디즈니 내에서도 거의 흔적이 사라진 이 세계명작동화 스타일은 오히려 90년대를 맞이하는 시점에서는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는 좋은 소재였던 셈이었다.  

다만, 고전적인 소재를 다시 부활시키는데 있어서 디즈니는 새로운 몇가지 시도를 행하게 되는데, 그 첫번째가 바로 컴퓨터 그래픽의 도입이었다. 레이아웃을 컴퓨터로 그린 뒤, 이를 셀 애니메이션으로 옮겨 채색하는 작업은 지금의 Full CG와는 다른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혼재된 방식이었으나 셀 애니메이션이 가진 서정성과 감성을 유지하면서 CG의 부드러움과 선명함을 더하면서 기존의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새로운 영상적 완성도를 이룩하게 되었다.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바다를 누비는 인어들과 바다생물들의 움직임은 무척이나 자연스러웠으며, 생동감이 넘치는 영상미로 관객들을 사로잡게 된다.

다른 하나의 시도는 뮤지컬의 접목이었다. 이미 디즈니의 전작 '올리버와 친구들(1988)'에서 선보인 바 있는 이 뮤지컬 드라마는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에 또다른 서정성과 감동을 부여하게 되었으니, 아름다운 색체와 미려한 움직임에 더해진 뮤지컬적 시퀀스는 때로는 한편의 로맨틱한 드라마를, 때로는 한편의 코미디를 극적으로 스크린 위에 표현하게 된다. 이를 위해 뮤지컬계에서 이름을 널리 알리고 있던 알란 멘켄을 데려온 것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최고의 선택 중 하나로, 멘켄 자신도 디즈니와의 작업을 통해 오스카 8회 수상이라는 위업을 달성하며 서로가 상부상조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고전적인 소재의 현대적인 각색도 이야기의 흥미를 살리는데 큰 역할을 해낸다. 비극적인 이야기였던 원작의 시놉시스를 밝고 희망찬 이야기로 각색한 것은 확실히 전연령가의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서는 현명한 선택이었다 보인다. 여기에 바닷가재 세바스챤과 같은 개그 캐릭터를 창조하여 자칫 지루하게 흘러갈지도 모를 이야기를 중간중간 튀어오르게 만든 것은 분명 인어공주의 최고의 선택 중 하나가 아닐까. 세바스챤은 단순한 감초 역할에 그치지 않고 인어공주 최고의 명장면 중 하나인 'Kiss the Girl'에서 사실상 극의 흐름을 주도하는 캐릭터로 맹활약하게 된다.

또한, 달라진 시대만큼 달라진 여성상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백설공주나 잠자는 숲속의 미녀, 신데렐라와 같이 수동적이고 고전적인 여성주인공에서 지상을 동경하여 스스로 사랑을 찾아 모험을 행하는 에리얼의 모습은 분명 고전적인 동화의 여주인공과는 사뭇 다른 현대적인 여성상의 표현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는 보수적인 가치를 대변하던 과거의 디즈니와도 역시 상반되는 부분으로, '미녀의 야수(1991)'의 벨, '알라딘(1992)'의 쟈스민, '뮬란(1998)'의 뮬란 등으로 재생산되면서 디즈니의 또하나의 트렌드로 자리하게 된다.

인어공주는 디즈니 만화영화 사상 역대 최고인 4천만 달러의 제작비가 투여된 작품이었다. 이는 천문학적인 제작비가 투입되었던 85년 블랙 칼드론의 2천 5백만 달러를 훨씬 상회하는 액수로, 지난 이십년간 디즈니가 애니메이션에서 그리 괄목할만한 성적을 보여주지 못했음을 감안할 때 디즈니의 자존심을 건 승부사이자 회심의 일격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인어공주는 디즈니의 침체기를 한방에 날리는 멋진 카운터 펀치가 되었다. CG와 뮤지컬, 코미디와 신세대 여성상이 어우러진 이 한편의 드라마틱한 애니메이션은 오랫동안의 침체기를 벗어나 이후 픽사의 '토이 스토리(1995)'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전까지 디즈니의 르네상스를 열었던 명작으로 사람들에게 회자된다.  


인어공주2, 바다로의 귀환 (2000),Little Mermaid II, Return to the Sea


ⓒ WALT DISNEY


<정보>

◈ 감독: 짐 캐머러드(Jim Kammerud), 브라이언 스미스(Brian Smith)
◈ 각본: 엘리자베스 앤더슨(Elizabeth Anderson) 外
◈ 음악: 대니 트룹(Danny Troob)
◈ 제작: 레슬리 휴(Leslie Hough), 데이빗 러브그렌(David Lovegren)
◈ 제작사/배급사: 월트 디즈니 / 부에나 비스타
◈ 저작권: ⓒ WALT DISNEY
◈ 일자: 2000.09.19
◈ 장르: 드라마, 로맨스, 뮤지컬, 세계명작, 판타지
◈ 구분/등급: 비디오 / 전연령가(G)


<소개>

에리얼과 에릭의 딸 멜로디를 주인공으로 한 인어공주의 시퀄. 지상을 동경한 에리얼과 달리 딸인 멜로디는 바다를 동경하게 된다나 뭐라나.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아닌 비디오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극장에서 개봉된 작품은 아니다.


인어공주, 아리엘의 시작 (2008),Little Mermaid, Ariel's Beginning


ⓒ WALT DISNEY


<정보>

◈ 감독: 페기 홈스(Peggy Holmes)
◈ 각본: 로버트 리스(Robert Reece) 外
◈ 음악: 제임스 둘리(James Dooley)
◈ 제작: 켄드라 홀랜드(Kendra Halland)
◈ 제작사/배급사: 월트 디즈니
◈ 저작권: ⓒ WALT DISNEY
◈ 일자: 2008.08.26
◈ 장르: 드라마, 로맨스, 뮤지컬, 세계명작, 판타지
◈ 구분/등급: 비디오 / 전연령가(G)


<소개>

두번째 후속편은 당연스럽게도 프리퀄이 되었다.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시점보다 이전 시점의 이야기로 트라이튼 왕이 인간들을 싫어하게 된 이유와 에리얼의 첫 모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역시 극장용이 아닌 비디오용 애니메이션.


<참고 사이트>

[1] The Little Mermaid (1989 film), Wikipedia
[2] Walt Disney Pictures, Wikipedia
[3] Walt Disney Animation Studios, Wikipedia
[4] The Little Mermaid, Disney Wiki
[5] 인어공주, 네이버 영화
[6] 인어공주, 엔하위키 미러
[7] 디즈니 애니의 20세기, 그리고 21세기, CAPSULE 블로그: 총천연색 리스트 제작위원회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WALT DISNEY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브레이브스타 (1987), Bravestarr


ⓒ Filmation Associates (?)


<정보>

◈ 연출: 밥 아크라이트(Bob Arkwright), 로우 주코(Lou Zukor)
◈ 각본: 밥 포워드(Bob Forward), 스티브 헤이즈(Steve Hayes)
◈ 아트디렉터: 존 그러스드(John Grusd)
◈ 캐스팅: 팻 프레일리(Pat Fraley), 에드 길버트(Ed Gilbert), 챨리 애들러(Charlie Adler)
◈ 기획: 로우 슈이머(Lou Scheimer)
◈ 제작사/배급: 마텔(Mattel), 필메이션(Filmation) / 그룹 W 프로덕션(Group W. Productions)
◈ 저작권: ⓒ Filmation Associates (?)
◈ 일자: 1987.09.14 ~ 1988.02.24
◈ 장르: SF, 모험, 액션(웨스턴)
◈ 구분/등급: TVA(65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PG)


<시놉시스>

행성 뉴텍사스를 수호하는 우주보안관 브레이브스타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그의 애마이자 동료인 써티 써티와 서장 퍼즈와 함께 뉴텍사스를 위협하는 스탬피드 갱의 리더 텍스 헥스의 음모에 맞서는 용감한 보안관이다. 브레이브 스타는 보통 보안관들과는 다른 특별한 능력을 몸에 지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동물들의 영혼의 힘을 자신의 몸에 빌려와 보통의 인간을 능가하는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영혼들의 힘을 갖게 된 브레이브 스타는 텍스 헥스를 비롯한 뉴텍사스의 악랄한 악당들과 맞서게 되는데...


<소개>

히맨 시리즈를 제작한 마텔과 필메이션이 다시 한 번 손을 잡고 제작한 스페이스 웨스턴 모험물. '히맨과 우주의 지배자(1983)'와 마찬가지로 액션 피규어는 마텔이, 애니메이션 제작은 필메이션이 맡았다. 마텔이 기획한 완구 브랜드를 애니메이션화한 히맨과는 달리, 브레이브스타는 필메이션의 스태프 아티스트가 창조한 악당 캐릭터 텍스 헥스에서 힌트를 얻은 프로듀서 로우 슈이머의 지시로 인해 필메이션에서 원작을 맡게 되고, 이를 마텔 측이 상품화한 케이스이다.([1] 참조) 원작이 기획된 시점에서 마텔의 완구 브랜드는 애니메이션보다 빠른 1986년에 시장에 출시된다.
 
기본적인 모양새는 필메이션이 제작했던 60년대의 슈퍼맨, 배트맨 애니메이션 시리즈부터 히맨 시리즈에 이르는 히어로 액션물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여기에 히맨 시리즈에서 선보였던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벌어지는 판타지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되 고대/중세시대를 배경으로 한 히맨과는 달리, 웨스턴 장르라는 만화영화로서는 다소 신선한 시도를 도입한 것이 본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겠다. SF와 히어로, 여기에 웨스턴 장르가 혼합된 이 색다른 시도는 지금에 이르서도 그다지 찾아보기 힘든 색다른 스타일이다. 

인디언의 전통문화에 영향을 받은 것처럼 보이는, 동물들의 영혼이 빙의되어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는 주인공 브레이브스타는 본 작품 최고의 키포인트로, 히어로적인 요소를 갖추었으면서 동시에 인디언의 샤머니즘적인 매력, 즉 동양적인 세계관이 적용된 브레이브스타의 능력은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컨셉이었다. 조악하긴 하지만 곰이나 늑대, 매의 영혼이 빙의되는 순간에는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는 참신한 연출을 선보여, 극적인 효과를 배가시키기도 하였다. 타고 다니는 말에서 순식간에 인간형의 전투형태로 변신하여 브레이브스타와 함께 싸우는 써티 써티도 히어로물의 사이드킥으로는 꽤 색다른 설정이다.

ⓒ Filmation Associates (?)

다만, 워낙에 퀄리티에서는 그다지 좋은 평을 줄 수 없는 필메이션의 작품이기에 이 멋진 컨셉들이 온전히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한 것 같다. 필메이션의 경우는 예로부터 셀의 재사용으로 인한 반복적인 장면의 등장, 풀 프레임 애니메이션이 아닌,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기법에 따른 낮은 퀄리티의 동화 완성도 등으로 인해 악명높은(?) 제작사이기에, 애니메이션의 완성도 측면에서 본 작품 역시 좋은 점수를 주기에는 애매한 작품이기도. 시리즈는 65화를 끝으로 종영되었으며, 종영 후 약 3주 뒤인 88년 3월 18일에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공개되었는데, 예상대로 평단의 반응은 좋지 못한 편이었다.

88년 그룹 W 프로덕션에서 화장품 회사로 유명한 로레알로 필메이션의 소유권이 넘어간 뒤 1989년 3월에 스튜디오가 문을 닫게 되면서 브레이브스타는 원치 않게 필메이션의 마지막 TV 시리즈 애니메이션이 되었다. 이로 인해 제작중이던 스핀오프 시리즈 역시 무산되고 만다. 매력적인 아이디어이긴 했으나 결과적으로 시리즈는 완구판매나 애니메이션 시청률, 극장 흥행 등 모든 면에서 기대에는 못미치는 작품이 되고 만 것이다.

같은 해인 87년 10월 21일, MBC를 통해 한국에서 방영되기도 하였다. 이미 서부극의 인기가 시들해진 89년이었으나 SF 히어로물과 웨스턴 장르를 접목시킨 브레이브스타의 인기는 꽤 높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과거 마카로니 웨스턴 무비로 토요명화 등을 통해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영화 '장고'에서 힌트를 얻었는지 제목은 '우주보안관 장고'라는 생뚱맞은 네이밍 센스로 재탄생된다. 마카로니 웨스턴이랑은 거리가 먼 인디안 태생이 주인공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제목은 '우주보안관 늑대와 함께 춤을'을 정도가 어땠을까나.(물론, 그때는 '늑대와 함께 춤을'이 개봉하기 전이었지만 말이다)



<참고 사이트>

[1] Bravestarr, Wikipedia
[2] Bravestarr, AndyMangels.com
[3] Bravestarr, IMDB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각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바이오닉 식스 (1987), Bionic Six 


ⓒ TMS · MCA/Universal


<정보>

◈ 총감독: 데자키 오사무(出崎統)
◈ 연출: 샘 니콜슨(Sam Nicholson), 존 워커(John Walker), 리 미시킨(Lee Mishkin), 존 엠(John Ahem), 마크 글래맥(Mark Glamack)
◈ 각본: 쟝 마크 로피셔(Jean-Marc Lofficier), 고든 브레섹(Gordon Bressack), 파멜라 힉키(Pamela Hickey), 크레이그 밀러(Craig Miller)
◈ 스토리보드: 마이크 보스버그(Mike Vosburg)
◈ 캐스팅: 존 스테펜슨(John Stephensen), 카롤 빌거(Carol Bilger), 할 라일(Hal Rayle), 바비 블락(Bobbie Block), 노만 버나드(Norman Bernard), 브라이언 토치(Brian Torchi)
◈ 음악: 토마스 체이스(Thomas Chase), 스티브 룩커(Steve Rucker)
◈ 제작사: 도쿄무비 신사, MCA TV (現 NBCUniversal TV)
◈ 저작권: ⓒ TMS · MCA/Universal
◈ 일자: 1987.04.19 ~ 1987.06.28 / 1987.09.08 ~ 1987.11.12
◈ 장르: SF, 모험, 액션, 히어로
◈ 구분/등급: TVA (22화/43화)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근 미래의 지구, SPL의 천재 과학자 아마데우스 샤프 박사는 생체공학을 이용, 인간에게 강력한 초능력을 부여하는 연구에 성공한다. 샤프 박사의 테스트 피험자로 특수요원 잭 베넷이 선정되었으며, 투시와 망원, 에너지파를 발산하는 특수한 눈과 강력한 청력, 그리고 초인적인 힘을 갖게 된 그에게는 바이오닉 1이라는 코드명이 부여된다. 하지만, 베넷 가족이 스키여행 도중 불의의 사고로 바이오닉 1을 제외하고 모두 뇌사 상태에 빠지게 되자, 샤프 박사는 바이오닉 1에게 사용했던 생체공학기술을 사용하여 그들을 모두를 부활시키게 된다.

부인인 헬렌 베넷은 텔레파시 능력과 예지력, 그리고 환영을 보여주는 능력을 가진 마더 1으로, 장남인 에릭 베넷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금속을 자유자재로 조정하거나 파괴할 수 있으며, 괴력을 발휘하는 팔을 가진 스포츠 1으로, 딸인 메그 베넷은 어깨에 달린 장치를 통해 음파 광선을 발사하며, 초인적인 스피드를 낼 수 있는 다리를 가진 록 1로, 입양된 흑인 아들인 J.D 베넷은 강력한 괴력과 엄청난 지적 능력을 소유한 IQ로, 막내이자 입양된 동양계(일본계) 아들인 분지로 베넷은 파워업된 가라데 기술을 사용하는 가라데 1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초인적인 능력을 보유하게 된 베넷가족은 비밀임무를 수행하는 특수요원 '바이오닉 식스'로 불리게 되는데...


<소개>

일본의 도쿄 무비신사와 미국의 MCA TV가 합작으로 만든 작품. '고르고 13(1983)' 이후 수년간 아니메를 떠나 일미 합작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활약하고 있던 데자키 오사무가 총감독을 맡은 작품이다. 총감독이라고는 하지만, 작품 대부분의 스토리나 콘티 등이 미국 스탭진에 의해 만들어 졌으며, 에피소드 연출 역시 미국이 연출가 등에 의해 이루어졌기에 전반적인 모양새는 데자키의 스타일과는 상이한 작품이며, 아니메적인 느낌은 거의 묻어나지 않는 미국식 히어로물로 볼 수 있다.

다만, 오프닝 애니메이션에서부터 드러나는 역동적인 움직임과 스타일리쉬한 히어로 액션은 이 작품의 어딘가가 기존의 미국 애니메이션과는 다르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연출이나 콘티 뿐만 아니라 작화에 있어서도 미국의 아동 애니메이션이나 여타 히어로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세심한 터치와 디테일이 인상적인데, 이는 역시 공동 제작으로 참여한 도쿄무비 신사의 영향력임을 직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도쿄무비 신사가 84년에 제작했던 미일 합작 애니메이션 '마이티 오봇트(1984)'라든지 프랑스와의 합작으로 제작했던 '우주전설 율리시즈 31(1981)'와도 스타일에서 연계가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일본 스타일도 아니며, 미국 스타일도 아닌 무국적인 스타일의 작화에는 한국 출신 애니메이터들이 힘도 어느정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출동! 바이오 용사 by 송락현, TIME CAPSULE | 1991 (보러가기)

굉장히 다이나믹하고 인상적이었던 오프닝 애니메이션에 비해 본편의 에피소드가 모두 이런 놀라운 움직임과 장면을 선사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이야기 전개는 스캐럽 박사의 팀 스캐럽이 일으킨 소동을 바이오닉 식스가 힘을 합쳐 매회 해결하는 형태의 단편 에피소드 형태로 진행되는데, 상당 에피소드는 비교적 얌전(?)하고 비폭력적인 양상을 띄고 있었으며, 그러다가 몇몇 에피소드에서는 상당히 스케일이 큰 액션씬을 선사하면서 기대에 부흥(?)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각자 자신만의 독특한 초능력을 보유한 히어로 전대라는 점에서는 과거 '사이보그 009(1966)'나 '갓챠맨(1972)'에서 이어져온 일본식 히어로의 편린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베넷 가족이 바이오닉 식스로 변신하는 장면에서 손목에 찬 시계를 사용하는 장면은 갓챠맨의 오마쥬로 봐도 무방할 듯.

여기에 아프리카 계나 일본계 입양아를 가족의 일원으로 포함시켜 모범적이고 이상적인 가족상을 보여주는 부분도 기존의 미국 애니메이션에서는 보기 힘든 부분이기도 했다. 히어로 가족이라는 점에서는 픽사의 '인크레더블(2004)'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가족애라는 미국 불변의 테마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 두 작품은 공통점이 있다.

한국에서도 88년 KBS2를 통해 방영되면서 기존의 미국 애니메이션과는 확연히 다른 스타일과 다이나믹한 스토리로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시리즈는 시즌2의 65화를 끝으로 종영되었으며, 아쉽게도 이후에 후속작에 대한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데자키 오사무는 바이오닉 식스의 시즌 2가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하스브로의 피규어 완구를 모델로 한 'Visionaries: Knights of the Magical Light(1987)'이라는 또다른 미일 합작 애니메이션에 크리에티브 컨설턴트로 참여하기도 한다.


<참고 사이트>

[1] Bionic Six, Wikipedia
[2] バイオニックシックス, Wikipedia Japan
[3] Bionic Six (U.S. TV), ANN
[4] Bionic Six, Garn's Guide
[5] BionicSix.net
[6] 바이오닉 식스 (Bionic Six, 1987), 뿌리의 이글루스 
[7] 출동! 바이오 용사, Your Friendly Neighborhood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TMS · MCA/Universal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트랜스포머 더 무비 (1986), Transformer the Movie


ⓒ MCMLXXXVI SUNBOW Productions Inc · HASBRO Inc


<정보>

◈ 감독/보조 프로듀서: 넬슨 신(신능균)
◈ 각본: 론 프리드맨(Ron Friedman)
◈ 오리지널 컨셉 디자인: 플로로 데리(Floro Dery)
◈ 캐릭터/배경 디자인: 가브리엘 호요스(Gabriel Hoyos)
◈ 콘티: 피터 정(Peter Cheung), 김주인, 오정환, 박시옥, 심상일, 데이비드 신, 정수영 外
◈ 총 애니메이션 감독: 모리시타 코죠(森下孝三)
◈ 애니메이션 감독: 죤 패트릭 프리맨(John Patrick Freeman)
◈ 보조  애니메이션 감독: 야마우치 시게야스(山内重保)
◈ 치프 애니메이터
: 츠노다 코이치(角田絋一)
◈ 키 애니메이터: 사사카도 노부요시(佐々門信芳), 백남열 外
◈ 음향감독: 월리 부르(Wally Burr)
◈ 음악/노래: 빈스 디콜라(Vince DiCola) / 라이온 - 주제가
◈ 제작총지휘: 마가렛 로쉬(Margaret Loesch), 리 건더(Lee Gunther)
◈ 프로듀서: 조바칼(Joe Bacal), 톰 그리핀(Tom Griffin)
◈ 제작사/애니메이션 제작
: 마블 프로덕션, 선보우 프로덕션, 하스브로 / AKOM 프로덕션, 도에이 동화
◈ 저작권: ⓒ MCMLXXXVI SUNBOW Productions Inc · HASBRO Inc
◈ 일자: 1986.08.08
◈ 장르: SF, 로봇, 모험, 액션
◈ 구분/등급: 극장판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거대한 인공행성이 평화로운 로봇 생명체들의 행성 리쏜에 다가오고 있었다. 리쏜에 그대로 충돌하여 중심부로 모든 것들을 빨아들이는 가공할 이 인공행성의 정체는 바로 유니크론이라 불리는 초거대 트랜스포머. 오토봇의 리더에게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매트릭스만이 자신을 파괴할 수 있는 유일한 물체라는 것을 알게 된 유니크론은 오토봇들의 별 사이버트론으로 진로를 바꾸어 서서히 전진하게 된다.

한편, 사이버트론을 디셉티콘에게 빼앗긴 오토봇들은 사이버트론의 위성에 전진기지를 설치하고 디셉티콘에게 반격태세를 갖추고 있는 중이었다. 반격을 위한 에너지 보급이 충분하지 않음을 파악한 오토봇의 리더 옵티머스 프라임은 디셉티콘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극비리에 지구로부터 보급을 지시하지만, 첩자에 의해 이 중요한 기밀이 디셉티콘의 리더 메가트론에게 새어나가고 만다. 오토봇의 보급선이 부족함을 파악한 메가트론은 곧바로 디셉티콘에게 공격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소개>
 

오토봇의 리더 옵티머스 프라임. ⓒ MCMLXXXVI SUNBOW Productions Inc · HASBRO Inc

1984년 미국에서 방영되어 커다란 인기를 끌었던 트랜스포머 TV 시리즈의 극장용 만화영화. TV 시리즈에서 실질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을 맡았던 도에이 동화와, 한국의 하청업체 AKOM 프로덕션이 주축이 되어 제작한 작품으로, TV 시리즈의 프로듀서였던 넬슨 신이 극장판의 감독을 맡는 등, 핵심 스탭진에 대거 한국 애니메이터들이 참여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의 저력을 보여준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애초에 트랜스포머는 일본의 완구업체인 타카라가 런칭한 다이아크론과 뉴 미크로맨 브랜드에서 파생된 상품이었다. 1980년과 81년에 각각 런칭한 이 두 브랜드는 일본 내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나, 리얼로봇의 붐으로 인해 프라모델이 로봇완구의 자리를 대치하고 있던 당시의 상황 속에서 타카라 역시 프라모델 사업에 뛰어들면서 아니메로는 제작되지 못했으며, 그러던 84년 타카라가 미국의 대표적 메이저 완구 브랜드인 하스브로 컴퍼니 측에 두 브랜드를 수출하게 되면서 일대 전기를 맡게 된 것이다. (80년대 중반부에 다이크론과 뉴 미크로맨 브랜드는 한국에서도 판매되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중 다이아배틀스 완구는 84 태권브이 완구의 원형이 되기도 하였다.)

하스브로는 이 브랜드를 수입한 뒤, 미국 판매용 브랜드로 새로이 제품을 디자인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인간이 탑승하는 로봇이 아닌, 생명을 가진 변신 로봇으로 컨셉이 바뀌게 된다. 상품화가 완료된 후 제품 홍보를 위한 TV 애니메이션 역시 기획에 들어가게 되는데, 아동용 완구의 특성상 만화영화만한 홍보 수단이 없었기 때문으로 이는 이미 일본의 로봇 아니메 시스템에서 검증된 결과였다. 로봇 애니메이션에 대한 노하우가 없는 미국에서는 제작이 불가능한 상황, 자연스레 애니메이션 제작은 일본에 하청을 주는 것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을 무렵, 신동헌 감독의 제자인 한국계 애니메이터 넬슨 신에 의해 애니메이션 제작은 새로운 국면을 맡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송락현님의 포스트와 페니웨이님의 포스트를 참고하시길.

☞ 트랜스포머 시리즈 by 송락현 (보러가기)
☞ 트랜스포머 특집 #1: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의 시작과 발전 by 페니웨이 (보러가기)

TV 시리즈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넬슨 신과 AKOM 프로덕션은 트랜스포머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콘티를 한국계 애니메이터들이 작업한 것은 놀라운 일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재미교포로 이제 막 애니메이션계에 발을 들인 신예 피터 정의 실력과 센스는 감독인 넬슨 신을 놀라게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극장판은 일본 로봇 아니메에서도 보기 힘든 다이나믹한 장면 설정과 카메라 워크를 보여주며 TV 시리즈의 퀄리티를 한차원 더 뛰어넘은 영상미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모리시타 코죠나 츠노다 코이치, 사사카도 노부요시와 같은 일본 로봇 아니메의 베테랑들이 참여가 큰 힘이 되어준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 지시한 대로 하청작업만을 해오던 한국 애니메이션계의 수준을 감안할 때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닐 수가 없다.

내용은 시즌 1과 2가 끝나고 시즌 3이 시작되기 전의 중간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며 일부 주역 캐릭터들이 이 극장판에서 최후를 맡는 등 당시 트랜스포머의 팬들에게는 상당히 충격적인 전개가 눈길을 끈다. 특히, 주인공 격인 오토봇의 리더 옵티머스 프라임(콘보이)의 최후는 당시 아이들에게는 꽤나 놀라운 전개이기도. 옵티머스의 뒤를 이어 핫로드가 로디머스 프라임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라스트 클라이막스는 상당히 인상적인 씬이긴 했으나 옵티머스 프라임의 인기가 워낙 높은 덕에 이 전개는 후일 많은 팬들로부터 격렬한 항의를 듣게 되며 결국은 추후 시리즈에서 옵티머스가 부활하는 것으로 일단락 된다. 덕분에 새로운 주인공 로디머스 프라임의 존재감은 미약해져버리기도.

오토봇의 새로운 리더 로디머스 프라임. ⓒ MCMLXXXVI SUNBOW Productions Inc · HASBRO Inc

극장판에서 첫 등장하는 유니크론의 활약도 인상적이다. 데쓰스타를 연상시키는 압도적인 크기의 인공행성이 초 거대 로봇으로 변신하는 장면은 이제까지의 로봇 아니메를 통틀어 가장 거대한 스케일을 자랑하고 있다. 로봇 아니메 메카 일본에서조차 이 정도의 거대한 로봇이 등장하는 작품은 드문 편. 거대함과 압도적인 위압감 덕분에 이후 후속 시리즈에서도 여러번 재등장하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볼 때 로봇 아니메를 표방하고 있으나 생명체를 지닌 로봇이라는 점에서 미국식 히어로 애니메이션과의 교집합이 더 많은 SF 판타지 히어로물에 가깝다 할 수 있다.

최종 극장판 수익은 약 5백80만 달러로 기대한 만큼의 빅히트를 기록하지는 못했다.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 평가절하 되는 부분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볼 때 오히려 마이클 베이의 실사영화보다 스토리 완성도나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완성도는 높다고 판단된다. 실사영화의 이야기와 스토리보드를 그대로 86년도 극장판 퀄리티의 만화영화로 구성한다든지 혹은 역으로 86년 극장판을 실사영화 수준의 CG 영화로 만든다고 상상해보면 좋을 듯. 일본에서는 여러가지 알려지지 않은 사정에 의해 개봉되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시즌 3에서 주인공인 옵티머스 프라임이 사망한 체로 시작되면서 팬들에게 혼선을 주기도.

여러모로 한국 애니메이션계에 한 획을 그을 수도 있는 기회를 준 작품이었으나 결국 시즌 4를 끝으로 AKOM 프로덕션은 제작에서 물러나게 되고 트랜스포머에서 수확한 값진 노하우는 여전히 한국 애니메이션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는 못한 체 하청 작업에 의존하는 행태는 계속되고 만다. 이는 애니메이터나 애니메이션 업계만의 문제가 아닌 산업 전반과 사회적, 문화적 인식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참고 사이트>

[1] トランスフォーマー, Wikipedia Japan
[2] トランスフォーマー ザ・ムービー, Wikipedia Japan
[3] The Transformers: The Movie, Wikipedia
[4] Transformers: The Movie (U.S.), ANN
[5] 트랜스포머 더 무비, 위키피디아
[6] 트랜스포머, 엔하위키 미러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MCMLXXXVI SUNBOW Productions Inc · HASBRO Inc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타체이서, 오린의 전설 (1985), Starchaser, Legend of Orin 


ⓒ 1985 YOUNG SUNG International


<정보>

◈ 감독/제작: 스티브 한 (Steve Hahn)
◈ 각본: 제프리 스콧 (Jeffry Scott)
◈ 캐스팅: 조 콜리컨 (Joe Coligan), 카르멘 아르젠지아노 (Carmen Argenziano), 노엘 노쓰 (Noelle North), 안쏘니 데 론지스 (Anthony De Longis)
◈ 음악: 앤드류 벨링 (Andrew Belling)
◈ 편집: 도날드 W. 어니스트 (Donald W. Ernst), A.C.E
◈ 조감독: 존 스파레이 (John Sparey)
◈ 애니메이션 감독: 밋치 록혼 (Mitch Rochon), 김장일
◈ 제작총지휘: 토마스 콜맨 (Thomas Coleman), 마이클 로젠블랫 (Michael Rosenblatt)
◈ 제작사: 영성 프로덕션 (Young Sung Production), 한호흥업, 대원동화
◈ 배급: 아틀란틱 릴리징 (Atlantic Releasing), MGM
◈ 저작권: ⓒ 1985 YOUNG SUNG International
◈ 일자: 1985.11.24
◈ 장르: SF, 모험, 액션
◈ 구분/등급: 극장판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때는 수천년 후의 미래 혹성행성 트리니아. 인간들은 마인 마스터라 불리는 로봇들의 지배를 받으며 지하 광산에서 노역에 시달리고 있었다. 지배자 자이곤(Zygon)이 통치하는 이 세상에서 인류는 오로지 이 지하 세계만이 자신들이 살 수 있는 세계이며, 지상은 지하세계보다 훨씬 끔찍하고 지옥같은 곳이라 믿고 있었다. 자이곤은 인간 노예들을 부려 광산에서 루비디마이트라는 붉은 수정을 채굴하고 있었는데, 루비디마이트를 채굴하여 제단에 바치면 자이곤이 나타나 신의 말씀을 전하고 루비디마이트를 가져간다. 루비디마이트를 회수하고 난 뒤에서야 비로소 식량이 지급된다.

자이곤의 폭정 속에 고통스러운 나날들을 보내던 어느 날, 지하 광산에서 눈먼 동생 칼리와 살고 있던 젋은 청년 오린은 채굴 도중 바위 속에 박혀 있는 보석장식이 달린 검을 발견하게 된다. 오린이 검을 쥐자 검신에서 빛이 발산되며 노인의 영상이 투영된다. 지하세계 위 지상에는 멋진 세상이 기다리고 있으니 용기를 가지라는 노인. 검을 소유한자는 진실된 힘을 얻을 것이라 말하며 노인은 사라진다. 동시에 검날이 사라지고 손잡이만 남은 검. 오린은 노인의 말에 따라 지상으로 향할 것을 결심하는데...


<소개>

미국 애니메이션의 하청업을 주로 맡아오던 동서동화(現 한호흥업)와 동서동화의 창립자인 재미교포 출신의 스티브 한이 주축이 되어 제작된 한미 합작 애니메이션으로, 컴퓨터 그래픽과 입체영상, 로토스코핑 기법 등이 동원된 애니메이션 테크놀로지의 결정체와 같은 작품이다. 평단의 호평 속에도 불구하고 배급사인 아틀란틱 릴리징의 도산으로 인해 개봉 도중 극장에서 내려지며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혀진 비운의 작품으로, 한국 애니메이션의 잠재력을 보여준 동시에 뛰어난 퀄리티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못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스티브 한과 한호흥업과 같은 한국 애니메이터들이 대거 참여하고 주도한 작품이긴 하지만 동시에 무척이나 미국적인 작품이다. 스탭진의 구성에서 보면 연출과 셀 애니메이션 쪽에서는 한국쪽 인재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반면, 스토리와 콘티, 사운드와 CG 등에서는 역시 미국 애니메이터들의 영향이 크다. 이는 연출과 작화에서 당대 한국 애니메이션의 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와있음을 증명한 반면, 기획, 스토리, 사운드와 같은 많은 부분에서는 여전히 인재와 역량이 부족함을 보여준 사례라고도 할 수 있다. 어차피 기획 단계에서 미국의 참여가 주도적이었던 작품이었고, 세계시장을 겨냥한 작품이었기에 한국적인 색체가 보이지 않음은 어찌보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이는 약 1년 뒤에 넬슨 신과 다수의 한국인 애니메이터가 주축이 되어 제작한 '트랜스포머더 무비(1986)'에서도 마찬가지로 벌어지는 상황이다.)

지하세계에서 통제된 삶을 살아오던 인류가 기계의 지배를 벗어나 지상으로 나와 진정한 자유를 찾는다든지, 주인공 오린이 바위 속에서 검을 찾아내고 그로 인해 영웅의 길을 걷는 전개는 아서왕의 전설과 같은 중세 판타지의 느낌을 주고 있다. 아울러, 지상으로 나온 오린 일행의 모험에서는 익숙한 미국식 모험물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런 부분은 스타워즈의 영향을 받은 아류로 인식될 수 있다 하겠다. 참신함은 비록 떨어지지만 짜임새 있는 이야기 전개로 인해 그 완성도는 높은 편이다. (지하세계에서 사는 인류가 전설의 검을 발견하고 지상으로 압제자를 물리치고 지상으로 향하는 부분은 '천원돌파 그렌라간(2007)'의 스토리 컨셉과 유사하기도 하다. 물론, 둘 사이에 관계는 없다.)

ⓒ 1985 YOUNG SUNG International

스타체이서의 의의는 이야기보다는 영상미에 있다. 당시로서는 불모지에 가까운 CG를 적극 도입한데다가 입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등, 현재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는 3D CG 기법을 무려 25년이나 먼저 애니메이션에 도입한 작품이다. 게다가 그 완성도 역시 85년도의 작품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매우 준수한 편. 거기에 사람의 움직임에는 로토스코핑 기법을 도입하여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물론, 당시 기술의 한계나 제작비 문제 등으로 인해 모든 영상에 입체기법을 적용할 수는 없었고, 이로 인해 인물의 묘사에서는 입체기법이 재현되지 못한 부분도 있다. 하지만, 테크닉의 관점에서 이 작품은 당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정수가 모두 투입된 기념비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평단의 평가도 좋은 편이었고, 개봉 당시의 성적도 괜찮은 편이었으나 배급사의 도산으로 인해 급박하게 상영이 중단되면서 스타체이서와 한국 애니메이션의 야심찬 첫발은 아쉽게도 불발로 끝나고 만다. 1985년 11월 24일 개봉한 스타체이서는 1985년 12월 8일까지 불과 2주 밖에 개봉하지 못했으나 3백36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벌어들였다. 만약, 제대로 개봉일자를 채웠다면 스타체이서의 평가는 지금과는 달랐을지도 모른다. 넬슨 신의 트랜스포머 더 무비가 약 한달 간 개봉하여 5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음을 볼 때 스타체이서는 그와 비슷하거나 그를 상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에서의 참패와 배급사의 도산으로 인해 국내 개봉이 무산된 것은 아쉬운 점이다. MGM이 2005년 6월 21일 북미에서 DVD로 발매했지만, 입체 애니메이션이라는 메리트를 느낄 수 없는 것 역시 큰 아쉬움 중 하나. 당시 흥행 참패로 인해 스티브 한은 미국으로 도미해야 했으며, 다시 한 번 창작 애니메이션을 향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희망은 열매를 맺지 못한체 시들어버리게 된다.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1985 YOUNG SUNG International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썬더 캣츠 시즌 1~4 (1985), ThunderCats 



<정보>

◈ 원작: Rankin/Bass 프로덕션, 테드 울프(Ted Wolf)
◈ 감독: 아써 랜킨 쥬니어(Arthur Rankin Jr.), 쥴스 배스(Jules Bass), 아키야마 카츠히토(秋山勝仁)
◈ 각본: 레오나드 스타(Leonard Starr), 스테픈 페리(Stephen Perry), 윌리엄 오버가드(William Overgard)
◈ 애니메이터: 다니구치 모리야스(谷口守泰)
◈ 음악: 버나드 호퍼(Bernard Hoffer)
◈ 제작총지휘: 아써 랜킨 쥬니어, 쥴스 배스
◈ 제작사: Rankin/Bass 프로덕션, Pacific Animation Corporation
◈ 저작권: ⓒ Warner Bros
◈ 일자: 1985.01.23 (선행방송) / 1985.11.11~ 1989.?.?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TVA (130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머나먼 외계의 행성 썬더라가 멸망을 맞이할 즈음 마지막 생존자들이 우주선을 타고 썬더라를 탈출한다. 그러나 썬더라의 적인 풀룬 다르(Plun Darr)의 뮤턴트들이 썬더라의 생존자들을 공격하고, 대부분의 우주선들이 뮤턴트들에게 격추되지만 하나만은 썬더라의 눈이 가진 힘에 의해 뮤턴트들의 추격을 뿌리치게 된다. 썬더라의 눈은 전설의 검 오멘의 검의 칼자루에 있는 것으로, 썬더라의 힘의 원천이라 전해지고 있다. 뮤턴트들의 추격은 뿌리쳤지만 우주선은 큰 데미지를 입은체 원래의 목적지에서 벗어나 제3의 지구(Third Earth; 미래의 지구)라는 행성에 불시착하게 된다.

추락한 우주선에는 노전사 쟈가가 이끄는 썬더라의 이성인 썬더캣들이 타고 있었다. 라이온 오(Lion-O)와 타이그라, 치타라, 팬드로와 같은 젊은 썬더캣들은 이 행성에 거점을 만들고 적응하려 하지만 뮤턴트의 소서러인 멈라(Mumm-Ra)가 뮤턴트들을 이끌고 썬더라의 눈을 찾기에 혈안이 되면서, 썬더캣과 뮤턴트들의 피할 수 없는 전쟁이 시작되려 하는데... ([1] 참조)

'썬더 캣츠, 호~!'


<소개>

토빈 테드 울프의 원작을 바탕으로 랜킨/배스 프로덕션이 제작한 미일 합작 TV 애니메이션. 랜킨/배스 프로덕션은 이미 '반지의 제왕(1978)'이나 '라스트 유니콘(1983)'과 같은 유수의 작품을 일본 애니메이터들과의 합작으로 제작해온 전례가 있었는데, 이번 작품은 그러한 랜킨/배스 프로덕션의 작품 중에서도 이례적인 스타일의 작품으로, 미국식 판타지 히어로물에 아니메식 재해석이 더해진 독특한 형태의 작품으로 태어나게 된다. 다만 참여한 일본 애니메이터나 제작사에 대한 정보는 상당히 레어한 정보가 되어 쉽게 알아낼 수가 없다.

다만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연출에는 '갈포스' 시리즈나 '버블검 크라이시스' 시리즈 등으로 일본 OVA계에서 미소녀 액션물로 한 획을 그은 아키야마 카즈히토가 참여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일본 위키피디아를 살펴보면 아키야마 카즈히토의 필모그라피에는 썬더캣에 대한 언급은 없으나 '푸른 유성 SPT 레이즈너(1985)'의 캐릭터 디자이너로 활약했던 베테랑 작화감독 다니구치 모리야스의 필모그라피에 썬더캣에 대해 짤막한 언급이 있을 뿐이다. 정확하게 참여한 애니메이터들이나 제작사의 면면을 파악할 수는 없었지만, 오프닝의 역동적인 컷 구성은 분명 미국의 TV 만화영화가 아닌, 카나다 요시노리의 작풍에 영향을 받은 일본 애니메이터들의 것이 확실해 보이며, 캐릭터 디자인 역시 아니메적인 뉘앙스가 여기저기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 Warner Bros

주인공 라이온 오에 그와 함께 싸우는 타이그라, 치타라, 팬드로, 윌리킷이나 윌리캣 등은 왠지 일본 아니메의 전대물을 연상시키는 부분도 있다. 이것은 애초에 그것을 의도했다기보다는 일본 애니메이터들의 참여로 인해 그러한 영향이 은연 중에 반영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검과 채찍, 봉과 돈파 등 각기 특색있는 무기를 들고 싸우는 모습은 검을 주무기로 여타 다른 판타지 히어로물과는 다른 색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전대물을 연상시키는 캐릭터 구성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DC의 져스티스 리그나 마블의 어벤져스와도 유사한 모양새이다. 몇 년전부터 방영을 큰 인기를 끌어오던 '히맨과 우주의 지배자(1985)'나 비슷한 시기에 방영을 시작한 '쉬라, 힘의 공주(1985)'와도 유사한 스타일이지만, 만화영화적 완성도 면에서는 본작에 더 점수를 주고 싶다. 

시리즈는 시즌 4의 130화로 큰 성공을 거둔다. 다만 배급사는 잦은 교체가 이루어지는데, 먼저 시즌1에서 배급을 맡았던 랜킨/배스 프로덕션의 모회사 Telepictures사는 시즌2에서 Lorimar 프로덕션에 흡수되었고, 시즌 3에 이르르면 Lorimar 프로덕션 역시 워너 브러더스에 합병되면서 결과적으로 썬더캣의 라이센스는 워너 브러더스 측으로 돌아가게 된다. TV 시리즈의 방영과 함께 코믹스로의 발간도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1985년부터 1988년에는 마블 코믹스에서 관련 코믹스가 출간되었으나 워너 브러더스에게 합병된 이후로는 워너 산하 DC 코믹스의 작품으로 2003년부터 옷을 갈아입게 된다.

한국에서는 1988년 KBS를 통해 방영되면서 역시 비슷한 시기에 전파를 탄 쉬라나 히맨과 함께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썬더 캣츠 (2011)


ⓒ Warner Bros


<정보>

◈ 원작/캐릭터 원안: 테드 울프
◈ 각본: 토드 케이시(Todd Casey)
◈ 애니메이션 감독: 죠아킴 도스 산토스(Joaquim Dos Santos)
◈ 미술감독
: 단 노튼(Dan Norton)
◈ 음악: Kevin Kliesch
◈ 제작총지휘/프로듀서
: 샘 레지스터(Sam Register) / 에단 스폴딩(Ethan Spaulding), 마이클 제레닉(Michael Jelenic)
◈ 제작사: 스튜디오 4℃,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 Animation), 카툰 네트워크(방영)
◈ 저작권: ⓒ Warner Bros
◈ 일자: 2011.??.??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TVA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소개>

워너 브러더스가 앞장서서 리부트시킨 썬더 캣츠의 새로운 시리즈. 원작 시리즈가 종결된지 무려 22년만의 리메이크이다. 이번에도 역시 미일 합작 애니메이션이 되었는데, 일본 측 제작사가 무려 스튜디오4℃라는 것도 놀라운 점. 스튜디오 4℃는 '메모리즈(1995)'와 같은 작품으로 북미에서도 나름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는 '애니 매트릭스(2003)'이나 '배트맨: 고담 나이트(2008)' 등에서 일부 에피소드 제작을 맡는 등 북미 애니메이션에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중이다. 이전보다 더더욱 아니메스러워진 디자인이 어느 정도 미국식 스토리와 궁합이 맞을지가 관건이라 하겠다.


<참고 사이트>

[1] Thunder Cats, Wikipedia
[2] List of ThunderCats episodes, Wikipedia
[3] ThunderCats (2011 TV series), Wikipedia
[4] Thundercats (U.S. TV), ANN
[5] Thundercats Lair
[6] Thundercats Page, Rankin/Bass Production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Warner Bros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형사 가제트 시리즈 (1983~2005), Inspector Gadget 


ⓒ DIC · FR3 · FIELD


<정보>

◈ 원작: 앤디 헤이워드 (Andy Heyward), 쟝 샬로핀 (Jean Chalopin), 브루노 비앙키 (Bruno Bianchi)
◈ 각색: 쟝 샬로핀
◈ 감독: 브루노 비앙키, 히루마 토시유키 外 
◈ 각본: 피터 사우더 (Peter Sauder), 엘레노어 부리안-모르 (Eleanor Burian-Mohr), 마이크 오'마호니 (Mike O'Mahoney)
◈ 음악: 슈키 레비 (Shuki Levy), 하임 사반 (Haim Saban)
◈ 총지휘: 앤디 헤이워드, 쟝 샬로핀, 카타야마 테츠오
◈ 제작사: DIC Entertainment, Nelvana 스튜디오, 도쿄무비신사, AIC, Cuckoo's Nest 스튜디오, FR3 (방영)
◈ 저작권: ⓒ DIC · FR3 · FIELD
◈ 일자: 1983.09.12 ~ 1986.02.01
◈ 장르: 모험, 코메디
◈ 구분/등급: TVA (시즌2/86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중절모에 버버리코트를 트레이드 마크로 하는 형사 가제트는 보통 형사와는 다른 특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온몸에 각종 특수장치가 내장된 기계인간인 것. 다리에 달린 용수철로 높이 뛸 수도 있고, 머리에 달린 프로펠러로 비행도 가능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제트가 다른 형사들과 다른 점은 형사로서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어눌한 판단력과 억세게도 좋은 운이라 할 수 있다. 매번 가제트가 사건현장에서 사고를 치면, 조카인 천재소녀 페니와 페니의 애완견으로 변장의 귀재(?)인 브레인이 사건을 마무리 해낸다. 이 완벽한(?) 3인조의 호흡에 의해 악당 크로우 박사는 매번 헛물을 켜게 되는데...


<소개>

'우주선장 율리시즈(1981)'를 제작한 프랑스의 DIC 엔터테인먼트와, 캐나다의 Nelvana 스튜디오가 기획과 제작을 하고, 일본의 도쿄무비신사와 대만의 Cuckoo's Nest 스튜디오가 애니메이션을 맡았으며, 프랑스의 FR 3와 미국의 Field 커뮤니케이션이 방영을 맡은 다국적 애니메이션으로, 사고뭉치 로봇형사의 이야기를 그린 빅 히트작이다. 사고뭉치 실수투성이 얼간이 형사라는 점에서는 핑크팬더 시리즈의 쟈끄 끌로소 경감을 연상시킨다. 매번 엉뚱한 실수를 반복하면서도 천재 조카와 애완견의 도움으로 어떻게든 사건을 해결하는 가제트는 항상 자신이 사건을 해결하는 줄 아는 유쾌한 나르시스트로 묘사된다. 여기에 매번 이 엉성한 형사에게 무릎을 꿇는, 어찌보면 가제트보다 더 모자란 악당 클로나, 매번 5분의 시간제한을 가진 폭탄 지령서를 가제트에게 건네주지만, 항상 폭발직전 그 지령서를 건네받고 자폭해버리는 큄비 반장(그리고 항상 삶아남는다) 등, 시리즈는 완벽하게 개그적인 시퀀스를 따르고 있다.

시리즈의 기본적인 기획은 DIC 엔터테인먼트의 전 CEO인 앤디 헤이워드의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이를 바탕으로 쟝 샬로핀과 브루노 비앙키가 가세하여 구체화 한 뒤, 쟝 샬로핀의 각색을 거쳐 애니메이션을 위한 이야기로 완성된 것이다. 캐나다의 Nelvana 스튜디오가 코 프로덕션(프로덕션 전단계 작업)에 합세하면서, 시즌 1의 이야기의 각본과 스토리보드, 디자인과 녹음 등이 Nelvana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선녹음이 끝난 뒤, 후 작화작업은 율리시즈를 통해 DIC와 함께 작업했던 일본의 도쿄무비신사가 맡게 된다. 이로 인해 일부 디자인이나 장면구성에서는 왠지 모를 아니메적 정취가 느껴지기도 한다. 스포츠카 형태로 변하는 경찰차 가제트모빌이나, 가제트의 조카인 소녀 페니의 생김새 등은 서양 애니메이션보다는 일본 아니메의 스타일이 언뜻 엿보인다. 몇몇 에피소드에는 대만의 Cuckoo's Nest 스튜디오가 애니메이션을 맡았다.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손만 등장하는 악당 클로나, 비밀스럽게 지령을 주고 받는 큄비 반장과 가제트, 그리고 온몸에서 특수한 장비가 나오는 가제트의 기능 등은 얼핏 보아도 007 시리즈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007스러운 요소를  희화화 시키면서 잔잔한 재미를 주고 있는 셈. 여기에 누가 보아도 그 정체를 알 수 있는 애완견 브레인의 변장을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든지, 그 변장을 조카인 페니만 한눈에 알아채는 점 등은 가제트 시리즈의 캐릭터들이 페니만 빼고는 몽땅 다 바보임을 증명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MBC에서 방영된 컴퓨터 형사 가제트가 가장 유명하다. 특히, 가제트의 성우를 맡은 배한성씨의 연기는 원작의 성우 돈 아담스를 능가하는 싱크로로 일약 배한성=가제트가 될 정도로 자신의 대표적인 필모그라피가 되고 만다. 또한, 메인 테마 역시 오랫동안 사랑받는 스테디 셀러가 될 정도로 인상적인 멜로디를 들려주었다. 멜로디의 친숙함 때문인지 엽기 정치가 허경영의 노래 '콜미'에 사용되어 표절이냐 샘플링이냐의 논란을 낳기도 했다.


후속 시리즈 (1992~2005) 


형사 가제트는 83년 TV 시리즈 외에도 각종 TV 스페셜과 스핀오프 시리즈, 속편 등이 존재하고 있다.

1. 형사 가제트 크리스마스를 구하다 (Inspector Gadget saves Crhistmas, 1992)

크리스마스 TV 스페셜로 제작된 작품. 클로에 의해 사로잡힌 산타클로스를 구하기 위한 가제트와 페니들의 모험이 그려지고 있다. 왠일인지 에미상 후보에까지 올랐다고 한다. 가제트가 혼신의 내면 연기를 선보인 것일까나.


2. 가젯 보이 (Gadget Boy and Heathers, 1995)

소년판 가제트의 모험을 다룬 스핀오프. 어눌한 성격의 형사 가제트와는 정반대의 영특하고 장난기 가득한 소년 가제트의 모험 이야기가 되겠다. 캐릭터의 구성은 원작과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다. 소년 가제트를 돕는 요원 헤더는 페니를, 로봇강아지 G-9는 브레인을, 가제트의 상사인 스토롬볼리 반장은 큄비 반장을, 악당 스파이드라는 클로를 연상시킨다. 26화의 1시즌으로 제작되었으나 98년에 두번째 시즌인 'Gadget Boy's Adventure in History Episodes'가 26화 분량으로 방영되었다.


3. 형사 가제트의 견학 (Inspector Gadget's Field Trip, 1996)

실사영상과 결합하여 교육용 시리즈로 제작된 스핀오프. 가제트가 아이들에게 세계각지의 명소를 소개해주는 형태의 작품으로 전 26화가 제작되었으며, 히스토리 채널을 통해 방영되었다. 교육시장에까지 진출한 가제트의 활약이 눈부시다.


4. 형사 가제트, Gadget's Greatest Gadget (1999)

45화 '집시들의 왕자', 69화 '케이프맨이 오다', '가제트의 잡동사니' 편을 편집하여 가제트가 이를 회상하는 듯 해설하는 작품. 비디오 애니메이션으로 출시되었다.


5. 형사 가제트의 최후의 사건 (Inspector Gadget's Last Case, 2002)

새롭게 그려진 가제트의 비디오 애니메이션. 기존과는 달라진 캐릭터 디자인으로 눈길을 끈다. 가제트와 그의 가제트모빌에 중점을 둔 작품으로 원 시리즈에서 가제트를 보좌하던 페니와 브레인의 역할이 축소되었다. 성우는 원 시리즈의 돈 아담스에서 모리스 라마쉬로 교체되었다. 모리스 라마쉬는 원시리즈에서 큄비 반장의 성우를 맡았었는데, 'Gadget's Greatest Gadget' 편부터 이후의 시리즈는 모리스가 계속 가제트의 성우로 활약하게 된다. . 


6. 돌아온 형사 가제트 (Gadget and Gadgetnis, 2003)

2002년에 출시된 'Inspector Gadget's Last Case' 편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2001년부터 제작된 새로운 스핀오프 TV 시리즈. 다만, 제작사정으로 인해 2003년에 이르러서야 유럽에서 방영을 시작했다. 가제트 외에도 가제트의 형상을 한 새로운 로봇 캐릭터인 디짓과 피젯이 등장한다. 원제의 가제트니스는 바로 이 디짓과 피젯을 의미하는 것. 원시리즈의 브레인과 큄비반장은 시리즈에서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가제트는 형사가 아닌 WOMP(World Organization of Mega Power)라는 특수조직의 요원으로 등장한다. 시리즈의 전개 방식은 원시리즈와 동일한 형식을 따르고 있다.  


7. 형사 가제트의 최대의 사건 (Inspector Gadget's Biggest Caper Ever, 2005)

시대의 트렌드에 맞춰 CG로 제작된 가제트 이야기. 페니는 어린 소녀에서 10대 중후반으로 성숙했고, 큄비 반장과 브레인이 오랜만에 시리즈로 복귀했으며, 가제트도 원래대로 형사로 등장한다. 페니의 나이를 감안했을 때, 이는 전작인 Inspector Gadget's Last Case 편이나 Gadget and Gadgetnis와는 다른 설정상의 오류라 할 수 있다. 형사였다가 WOMP라는 조직의 일원이 되었다고 상정한다면, 이번 시리즈의 페니의 나이가 전작보다 더 어렸어야 했을테니 말이다.  


실사영화 (1999, 2003) 


ⓒ WALT DISNEY Pictures

1. 형사 가제트 (1999)

원작자 중 한명인 앤디 헤이워드가 각본을 맡고, '라이온 킹'에서 주인공 사자 심바의 목소리 역할을 맡기도 했으며, '섹스 앤 더 시티'의 히로인 사라 제시카 파커의 남편이기도 한 연기파 배우 매튜 브로데릭이 주연을 맡은 첫 가제트 실사영화. CF 감독 출신의 신예 데이빗 캘로그가 연출을 맡으면서 가족영화로서의 장점을 살리지 못한 체 특수효과만 무성한 무미건조한 작품이 되고 말았다. 재미도 감동도 모두 잡지 못하며 평단의 혹평을 들었으나 원작의 네임밸류 덕인지 흥행에서는 나름의 성공을 거두게 된다.


ⓒ WALT DISNEY Pictures

2. 형사 가제트 2 (2003)

속편은 극장개봉이 이루어지지 않은체 비디오 용으로 제작되었다. 가제트와 같은 기계몸을 가진 여성용 로봇 G2가 등장하여 가젯과 승부를 벌인다는 전형적인 속편스러운 전개를 보여주었다. 주인공은 매튜 브로데릭에서 프렌치 스튜워트로 바뀌었다. 저래뵈도 메튜 브로데릭은 A급이 아닌가. 


<참고 사이트>

[1] Inspector Gadget, WIkipedia
[2] Inspector Gadget spinoff incarnations, Wikipedia
[3] Inspector Gadget(film), Wikipedia
[4] 형사 가제트, 엔하위키 미러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각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히맨과 우주의 지배자 (1983), He-Man and the Masters of the Univers 


ⓒ Filmation Associates


<정보>

◈ 원작: 마텔(Mattel)
◈ 감독: 할 서덜랜드(Hal Sutherland)
◈ 총괄 프로듀서: 로우 슈이머 (Lou Scheimer)
◈ 제작사: Filmation, Mattel
◈ 배급사: Group W Productions, CBS
◈ 저작권: ⓒ Filmation Associates
◈ 일자: 1983.09.05 ~ 1985.12.08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TVA (130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신화와 마법, 그리고 환상의 행성 이터니아. 이터니아에는 고대의 신비로운 그레이스컬 성이 있는데, 이곳에 숨겨진 비밀을 밝혀내는 이는 이터니아를 손에 넣고 우주의 지배자가 된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었다. 이터니아의 지배자 란돌 왕과 말레나 여왕에게서 딸 아도라 공주를 빼앗은 이블 호드(Evil Horde)의 리더 호닥(Hordak)의 제자로, 스네이크 마운틴의 지배자 스켈레토는 호시탐탐 이 그레이스컬을 차지하기 위한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란돌 왕과 말레나 여왕 사이에는 아도라의 쌍동이 오빠인 아담 왕자가 있었다. 생김새와는 달리 겁쟁이에 게으르고 무책임한 아담에게는 주인과 마찬가지로 겁이 많은 애완 호랑이(?) 크린져가 늘 함께 하고 있다. 그러나, 아담 왕자에게는 누구도 알지 못하는(그러나 시청자는 한눈에 알 수 있는) 한가지 비밀이 있다. 그레이스컬 성의 소서리스에게서 하사받은 신비한 마법검을 사용하여, 스켈레토의 음모와 위협이 닥칠 때 정의의 용사 히맨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그레이스컬의 힘으로, 나에게는 전능한 힘이 있다! (By the power of the Grayskull, I have the power!)".


<소개>

완구회사 마텔(Mattel)의 미디어 프렌차이즈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탄생한 마스터 오브 더 유니버스(이하 MOTU)의 첫번째 TV 시리즈로, 북미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히어로 액션물. 코난과 같은 바바리안 영웅의 이야기가 인기를 끌던 80년대 초반, 바바리안 전사와 판타지라는 테마 위에, 마법과 과학이 공존하는 신비로운 세계 이터니아를 창조함으로써 히어로물과 판타지물을 성공적으로 조합시킨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첫번째 시리즈는 2시즌으로 총 130화를 방영할 정도로 꾸준한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속편과, 극장판, 스핀오프 시리즈, 그리고 실사영화로까지 확대되며 30년이 가깝게 꾸준하게 인기를 이어오고 있다.
 
애초에 완구로 만들어진 시리즈였기에 최초의 시작은 완구 홍보를 위한 일종의 설정집에 가까운 미니코믹스로부터 출발하게 되었다. 이것이 만화영화로 제작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만화영화로 만들어진 MOTU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 보다 표현수위를 낮춘 얌전한(?) 히어로물로 탈바꿈하게 된다. 악당들은 사악한 외모와는 달리 서툴고 어리석어 말도 안되는 실수로 종종 자멸하고, 히맨 역시 악당들을 응징하지만 결코 그들을 죽이지는 않는다. 매회 스켈레토와 그의 부하들이 음모를 꾸미고, 히맨이 이를 물리치면 다음을 기약하며 스켈레토와 부하들이 패퇴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완구판매를 목적으로 했던 TV 시리즈이다보니 큰 자본이 투입되지 않아 역동적인 액션장면이나 뛰어난 영상미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반복적인 뱅크샷을 사용하는 등 저예산 애니메이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할 수 있을 듯. 시리즈의 제작여건은 예상 이상으로 열악했는지, 성우 한명이 여러 역할을 맡아서 더빙을 하면서 다양한 등장인물에 비해 실제 성우는 5~6명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히맨의 성우를 맡은 존 어윈 조차 히맨과 아담 왕자 외에 5명 이상의 캐릭터를 연기하기도. 하지만, 헤라클레스를 연상시키는 고대의 영웅과 다양한 매력의 주변인물들, 그리고 개성넘치는 악당들의 모습은 당시의 아이들의 눈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북미 만화영화에서는 처음 등장하는 근육질의 히어로라는 설정은 저예산의 만화영화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선했고, 소년들이 동경해마지 않는 모습이었던 것이다. 

한국에서도 1990년 KBS 2TV를 통해 일요일 오전에 방영하면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개인적으로는 당시 너무 많은 일본 아니메를 접하면서 일본 아니메에 염증을 느끼던 시기여서 오히려 이런 미국적 취향(다른 말로 양키 센스)이 가득한 히맨에 예상 외의 신선함을 느끼기도. 여담으로, 히맨의 동료로 등장하는 호랑이 크린져의 경우는 후일 블리자드의 히트 MMOR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얼라이언스 종족 나이트엘프가 타는 호랑이에게서 그 편린을 엿볼 수도 있다. 변신전과 변신 후의 얼굴이 완전히 똑같은 히맨의 변장센스도 주목할만한 점.


쉬라, 힘의 공주 (1985), She-Ra, Princess of Power 


ⓒ Filmation Associates


<정보>

◈ 총괄 프로듀서: 로우 슈이머 (Lou Scheimer)
◈ 제작사: Filmation, Mattel
◈ 배급사: Group W Productions, CBS
◈ 저작권: ⓒ Filmation Associates
◈ 일자: 1985.09.09 ~ 1987.12.05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TVA (93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소개>

히맨의 쌍동이 여동생으로, 이블 호드의 군주 호닥에 의해 어렷을 적 부모와 생이별하고 그에 의해 호드의 대장으로 키워진 아도라 공주가 출생의 비밀을 깨닫고 정의의 여전사 쉬라가 되어 호닥의 군대와 싸운다는 MOTU의 스핀오프. 히맨의 성공으로 마텔은 두번째 시리즈로 그의 쌍둥이 여동생 쉬라의 이야기를 제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그녀의 출생과 쉬라가 되기 전까지의 이야기를 다룬 'The Two Swords'가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85년 3월 22일에 선행 공개되었다. 이 극장판은 TV 시리즈의 이야기를 극장판으로 편집한 버전이기도 하다.

히맨이 지닌 마법의 검과 똑같은 검을 발견한 그레이스컬의 소서리스가 검의 주인을 찾을 것을 히맨에게 부탁하고 검에 의해 열려진 차원으로 히맨이 여행을 떠나 악의 군대 호드의 대장이 된 자신의 여동생 아도라 공주와 만나는 도입부는 드라마틱하다. 악의 군대의 대장으로 살고 있던 아도라 공주가 히맨을 통해 자신이 믿어왔던 많은 것들이 잘못된 것임을 깨닫고 빛의 편으로 돌아서는 내용은 전작에 비해 드라마가 강조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완구판매를 위한 저예산의 아동용 애니메이션이라는 한계로 인해 이러한 부분이 심도있게 다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전작인 히맨과 마찬가지로 이후의 에피소드 전개는 거의 대동소이한 공식을 따르고 있다. 한 명의 성우가 여러 캐릭터를 연기하는 사례 역시 동일하다고 할 수 있을 듯.

한국에서는 히맨보다 앞선 1987년 KBS2 TV를 통해 방영되었다. 쉬라가 인기를 끌면서 전작인 히맨을 뒤늦게 수입해서 방영한 사례라 하겠다. 


마스터 오브 더 유니버스 (1987) 


ⓒ CANNON Films · MGM


<정보>

◈ 감독: 게리 고다드
◈ 각본: 데이빗 오델, 스테판 톨킨
◈ 음악: 빌 콘티
◈ 캐스팅: 돌프 룬드그렌 (히맨), 프랭크 란젤라 (스켈레토), 안쏘니 드 롱 (블레이드), 코트니 콕스 (줄리)
◈ 제작: 메나햄 골란, 에드워드 R. 프레스맨, 요람 골버스
◈ 제작사: 캐논 필름, 워너 브러더스
◈ 저작권: ⓒ CANNON Films · MGM
◈ 일자: 1987.08.07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실사영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소개>

'록키4(1985)'를 통해 헐리웃에서 강한 인상을 선보인 돌프 룬드그렌이 첫 주연을 맡고, B급 액션물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캐논 필름과 프로듀서 메나햄 골란이 제작을 맡은 MOTU의 첫 실사영화이다. 판타지와 SF가 공존하는 원작의 세계관을 제대로 구현하기에는 B급 제작사인 캐논으로서는 아무래도 무리가 있었는지, 데이빗 오델이 제안한 원작에 가까운 이야기는 반려되고, 히맨과 스켈레토가 차원을 넘어 지구로 와서 벌이는 액션 어드벤쳐로 각색되었다. 실사영화로 컨버전 된만큼 성인층의 눈높이에 맞춘 좀더 하드한 액션 판타지가 되었다면 더 좋았을 법 했지만, 흥행을 위해 관람등급을 PG 수준에 맞추면서 만화영화스러운 전개가 된 것 역시 아쉬운 점. 거기에 열악한 특수효과 상의 한계로 인해 초인적인 힘을 가진 히맨이 일개 전사 정도로 격하된 것은 여러모로 원작의 팬들에게도 어필하지 못할 모습이었다 할 수 있다. 한편, 히맨의 조력자로 등장하는 소녀 줄리는 후일 TV 시리즈 '프렌즈'와 영화 '스크림' 시리즈로 우리에게 익숙한 코트니 콕스가 맡아 예상 외(?)의 풋풋한 매력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에서는 돌프 룬드그렌의 유명세를 이용하기 위해서 였는지 '마스터 돌프'라는 타이틀로 개봉되었다. 특히, 이 영화 이후로 돌프 룬드그렌이 주연한 영화는 모두 B급 액션물에 그치며, 쟝 클로드 반담과 함께 8~90년대 B급 액션물을 양분하기도. 87년도에 제작한 '슈퍼맨 IV'과 함께 흥행에 실패한 MOTU 실사판은 캐논 그룹이 도산하게 되는 하나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으며, 속편까지 기획되었으나 결국 무산된 뒤 20여년이 흐른 21세기에 들어 다시금 리메이크 소식이 들리면서 팬들의 가슴을 들뜨게 하기도 하였다. 여러 제작사와 감독이 물망에 올랐으나 루머에 그치며 프로젝트는 차일피일 미루어졌고, 현재는 소니에서 판권을 양도받아 새로운 각본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히맨의 새로운 모험 (1990), The New Adventure of He-Man 



<정보>

◈ 원작: 마텔, 도날드 F 글럿, 스티븐 J 피셔
◈ 각색: 잭 올레스커
◈ 총괄 프로듀서: 쟝 샬로핀
◈ 제작사: DIC Enterprise, Faso Film, Mattel
◈ 저작권: ⓒ DIC Enterprise
◈ 일자: 1990.09.10 ~ 1990.12.07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TVA (65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소개>

마텔이 새로운 장난감 라인업을 발표하면서 새로이 시작된 히맨의 이야기. 이번 이야기는 이터니아가 아닌 미래의 행성 프리머스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프리머스 행성의 부름을 받고 그들을 구원하기 위해 떠난 히맨과 함께 그의 호적수 스켈레토 역시 등장하고 있다. MOTU라는 원제를 쓰지 않고 주인공 히맨을 전면의 타이틀로 내세운 것이 이채롭다. 이는 MOTU 시리즈를 히맨에게 집중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새로운 시리즈는 전작만큼 호평을 얻지 못했으며, 완구 판매 역시 저조한 성적을 거두게 된다.


히맨과 우주의 마스터 (2002) 



<정보>

◈ 원작: 도날드 F 글럿
◈ 각색: 로져 스위트
◈ 총괄 프로듀서: 빌 슐츠
◈ 제작사: 마이크 영 프로덕션, 카툰 네트워크
◈ 저작권: ⓒ Mike Young Production
◈ 일자: 2002.08.16 ~ 2004.01.10
◈ 장르: SF,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TVA (39화)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소개>

90년도의 실패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히맨 라인업은 2002년 새롭게 다시 리부트되었다. 완구 디자인 역시 기존의 마텔 스탭이 아닌, Four Horsemen 스튜디오에게 디자인을 맡겨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히맨이 탄생하기 전, 히맨의 아버지 란돌과 스켈레토의 악연부터 히맨이 되기까지의 여정을 다룬 프리퀄 형태의 작품이다. 캐릭터 디자인도 이전에 비해 좀 더 하드한 느낌으로 달라진 세대를 고려한 느낌이 든다.

액션에 있어서는 전작에 비해 월등하다. 저연령대를 감안하여 표현수위를 파격적으로 낮추었던 83년도 TV 시리즈에 비하여 히어로물 본연의 느낌을 살려 보다 더 스펙타클한 액션씬을 선보이며 재미 면에서는 보다 더 나아졌다는 생각이다. 스켈레토와의 결전 외에도 완구로만 존재했던 스네이크 맨이 등장하는 등 새로운 캐릭터도 눈에 띈다. 또한, 완구 라인업의 다양화를 위해 히맨의 코스튬도 후반부에 바뀌게 된다.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각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Fire and Ice (1983) 


ⓒ 2011 BAKSHI Productions


<정보>

◈ 감독: 랄프 박시 (Ralph Bakshi)
◈ 각본: 게리 콘웨이 (Gerry Conway), 로이 토마스 (Roy Thomas)
◈ 작화 감수: 마이클 스베이코 (Michael Svayko)
◈ 레이아웃: 존 스파레이 (John Sparey)
◈ 배경 레이아웃: 팀 칼라한 (Tim Callahan)
◈ 촬영감독/실사촬영: 프란시스 그럼맨 (Francis Grumman)
◈ 실사 제작 감수: 제프리 체르노프 (Jeffrey Chernov)
◈ 편집: A 데이빗 마샬 (A. David Marshall)
◈ 음악: 윌리엄 크래프트 (William Kraft)
◈ 제작: 랄프 박시, 프랭크 프라제타 (Frank Frazetta)
◈ 총괄 프로듀서: 리차드 세인트 존 (Richard St. John), 존 W 하이드 (John W. Hyde)
◈ 보조 프로듀서: 린느 벳 (Lynne Bett)
◈ 제작사: Producer Sales Organization, 20세기 폭스 (배급)
◈ 저작권: ⓒ 2011 BAKSHI Productions
◈ 일자: 1983.08.27
◈ 장르: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극장판 / 고교생 이상 관람가 (R)


<캐스트>

◈ 란: 랜디 노튼 (Randy Norton)
◈ 티그라: 씬시아 리크 (Cynthia Leake)
◈ 다크울프: 스티브 샌더 (Steve Sandor)
◈ 네크론: 션 한논 (Sean Hannon)
◈ 줄리아나 여왕: 에일린 오닐 (Eileen O'Neill)


<시놉시스>

아주 먼 옛날, 마지막 위대한 빙하시대. 북쪽에는 강대한 여왕 줄리아나가 있었다. 그녀의 야망은 자신의 왕국을 전세계로 뻗어나가게 하는 것. 줄리아나는 군대를 모으고, 자신의 아들 네크론에게 강력한 마법을 가르친다. 네크론의 힘에 의해 줄리아나의 얼음궁전 아이스피크(Icepeak)는 살아있는 것처럼 주변을 얼리면서 계속 확장하게 되고, 그 강대한 위력 앞에 주변의 마을과 땅은 얼음 속에 묻힌체 초토화된다. 줄리아나와 네크론의 군세는 파이어킵(Firekeep) 왕국까지 다다르게 되고, 네크론은 파이어킵의 왕 제롤에게 항복을 권유하는 사신을 보내지만, 이는 줄리아나의 계략이었다. 사신들이 제롤왕의 시선을 끄는 동안 아이스피크의 원시인 병사들이 제롤의 딸 티그라 공주를 납치하고, 그녀를 인질로 삼아 파이어킵을 정복할 목적이었던 것이다.

병사들에게 끌려가던 티그라는 방심의 틈을 타서 탈출에 성공한다. 이제 낯선 원시의 땅에 홀로 남겨지게 된 티그라, 추적의 손길은 서서히 그녀에게 다가오고 티그라는 필사적으로 그들에게서 도망치게 된다. 한편, 네크론에 의해 멸망당한 북쪽 마을의 생존자 란 역시 홀로 낯선 땅을 방황하던 중 길을 잃고 방황하던 티그라를 만나게 되는데...


<소개>

1983년에 제작된 랄프 박시의 판타지 만화영화. 실사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셀 애니메이션을 덧 그린 뒤 이를 촬영하는 로토스코핑 기법을 도입하여 실사에 가까운 부드러운 영상을 구현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직전년도에 그가 만든 '아메리칸 팝(1981)' 역시 로토스코핑 기법을 사용한 작품이기도. 랄프 박시는 '위자드(1977)'나 '반지의 제왕(1978)' 등 판타지 만화영화를 계속 만들어온 인물로, 반지의 제왕의 경우에는 '라스트 유니콘(1982)'의 원작자인 피터 S 비글이 각본작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돈 코스카렐리 감독/마크 싱거(미니시리즈 V의 주인공) 주연의 '비스트마스터(1982)'나 존 밀리우스 감독/아놀드 슈왈체네거 주연의 '코난 더 바바리안(1982)' 등이 히트하면서 랄프 박시는 이러한 원시시대를 배경으로 한 판타지 만화영화를 만들고자 했다. 친구이자 판타지/SF 일러스트레이터인 프랭크 프라제타가 랄프의 아이디어에 힘을 실어주고, 마블 코믹스의 코난 시리즈를 집필했던 게리 콘웨이와 로이 토마스가 각본에 참여하였다. 이로 인해 고대시대의 영웅들이 활약하는 판타지 만화영화를 위한 라인업이 구성된 셈이다. 실제로 작품의 분위기는 코난 시리즈의 그것과 거의 대동소이하며, 불과 며칠 뒤에 TV를 통해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끌게 되는 'He-Man and the Masters of the Univers(히맨, 1983)'의 비주얼과 상당부분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로토스코핑 기법이 적용된 유려한 인체의 움직임은 단연코 이 작품에서 돋보이는 부분이다.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그제까지의 만화영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실감나는 액션이 가능하게 된 것. 특히, 검과 도끼를 사용하는 바바리안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묘사한 부분은 이 작품의 압권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세상을 지배하려는 얼음왕국의 네크론이 보여주는 압도적인 마법과 원시시대의 신비로운 괴물들로 스케일 큰 판타지를 보여주었고, 육감적인 몸매를 보여주는 반라의 히어로와 히로인이 등장하는 등, 전체적인 작품의 분위기는 미국 만화영화로서는 드문 성인취향의 느낌을 보여주고 있다.

뛰어난 영상미에도 불구하고 액션 어드벤쳐로서의 가치는 떨어지는 느낌이다. 전개가 길고 클라이막스까지의 구성은 엉성하여 오락영화로서의 매력은 뛰어나다고 할 수 없는 편. 애초에 오락 영화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작품의 호흡이 느려지면서 안타깝게도 지루한 느낌을 주고 있다. 주인공 란보다는 그의 조력자인 다크 울프가 모든 것을 해결하는 해결사라는 점에서도 히어로와 히로인이 작품 전체를 지배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다크 울프가 시리즈를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이 문제에 처했을 때 어디선가 갑작스레 등장한 히어로처럼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구조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식의 이야기구조로, 성인풍의 작품으로서는 다소 동떨어지는 서사구조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는 당시 막 애니메이션계에 입문한 피터 정이 레이아웃 아티스트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거의 전 컷을 로토스코핑으로 제작해낸 집념의 작품이지만, 제작비의 절반을 겨우 넘어서는 흥행수익을 거두면서 사실상 흥행에서는 참패하게 된다.

주인공 란(좌)과 조력자 다크울프(우). 다크울프는 흡사 월드오브워크래프트의 반오크/반오거인 렉사르를 연상시킨다. ⓒ 2011 BAKSHI Productions

네크론의 부하에게 잡혀가는 티그라 공주. 보기엔 아슬아슬하지만 의외로 질긴 소재다. 절대 벗겨지거나 찢어지지 않는다. ⓒ 2011 BAKSHI Productions



<참고 사이트>

[1] Fire and Ice, Ralph Bakshi / Films
[2] Fire and Ice (1983 film), Wikipedia
[3] Fire and Ice (1983), IMDB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2011 BAKSHI Productions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라스트 유니콘 (1982), Last Unicorn


ⓒ Peter.S.Beagle / Granada International


<정보>

◈ 원작/각본: 피터.S.비글 (Peter.S.Beagle) 
◈ 감독: 아써 랜킨 쥬니어 (Arthur Rankin Jr.), 쥴스 배스 (Jules Bass)
◈ 음악: 지미 웹 (Jimmy Webb)
◈ 애니메이션 제작: Topcraft Studio
◈ 제작사: ITC Entertaiment, Rankin/Bass Production
◈ 저작권: ⓒ Peter.S.Beagle / Granada International (inherited from ITC Entertainment)
◈ 일자: 1982.11.19
◈ 장르: 드라마, 모험, 판타지
◈ 구분/등급: 극장판 / 전연령가 (G)


<캐스트>

◈ 유니콘 아말띠아(Amalthea): 미아 패로우(Mia Farrow)
◈ 마법사 슈멘드릭(Schmendrick): 알란 아킨(Alan Arkin)
◈ 리르(Lir) 왕자: 제프 브리지스(Jeff Bridges)
◈ 해거드(Haggard) 왕: 크리스토퍼 리(Christopher Lee)
◈ 몰리 그루(Molly Grue): 타미 그림스(Tammy Grimes)


<시놉시스>

숲 속에서 홀로 거닐던 유니콘은 어느 날, 자신이 마지막 유니콘이며 다른 유니콘들은 어디론가 다 사라져 버렸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다른 유니콘들의 행방을 찾기 위해 숲을 나와 여행을 시작하는 유니콘. 정신나간 나비에게서 붉은 황소를 쫓아가라는 말을 듣고 인간세계로 나오지만 순수함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유니콘의 뿔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녀(유니콘)를 단순히 백마로 착각한다. 유니콘을 알아본 마녀 포르투나에 의해 사로잡혀 구경거리로 전락해 버린 유니콘은 슈멘드릭이라 불리는 젊은 마법사의 도움으로 무사히 탈출하여, 슈멘드릭과 여행 도중 만난 몰리와 함께 붉은 황소와 다른 유니콘들을 찾기 위한 여행을 계속하게 된다.

여행 도중 결국 붉은 황소와 맞닥뜨린 유니콘. 붉은 황소의 무시무시한 기세 앞에 그녀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게 되고, 다급한 상황에서 슈멘드릭이 읊은 마법주문은 예상 외의 결과를 낳아 유니콘을 아리따운 여인으로 변모시키게 되는데... 그녀는 과연 다시 본모습을 찾고, 그녀들의 동족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소개>

피터 S. 비글의 원작소설을 만화영화로 각색한 작품. 이미 78년도에 만화영화 '반지의 제왕(1978)'의 각본작업에 참여했던 미국의 소설가 비글과, 유럽의 여러 만화영화의 하청작업으로 경력을 쌓아가고 있던 일본의 소규모 제작사인 탑크래프트가 미국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Rankin/Bass 프로덕션의 지휘 아래 영국의 제작사인 ITC 엔터테인먼트의 제작지원을 받아 완성시킨 다국적 판타지 애니메이션으로, 동서양의 느낌이 절묘하게 녹아들어가 있는 독특한 느낌의 작품이다. 탑크래프트는 이미 72년부터 Rankin/Bass 프로덕션의 하청을 받아 'Kid Power(1972)', 'Frosy's Winter Wonderland(1976)', 'The Hobbit(1977)', 'The Stingiest Man in Town(1978)', 'The Flight of Dragons(1982)'와 같이 일련의 유럽 TV 애니메이션을 제작해오게 되는데, 이러한 유럽 애니메이션에 대한 노하우는 후일 아니메史에서 중요한 변곡점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된다.

성우진에서도 당대 톱클래스의 배우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어 무게감에 있어서도 디즈니의 대작 만화영화에 비해 전혀 밀리는 감이 없다. 우디 알렌의 전부인이자 '악마의 씨(1968)', '위대한 게츠비(1974)', '한 여름밤의 섹스 코미디(1982)'의 명배우 미아 패로우, '캐치-22(1970)', '지참금 2백만불(1979)', '가위손(1990)'의 알란 아킨, 근래 들어서도 '아이언 맨(2008)'이나 '트론 레거시(2010)' 등으로 변함없는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제프 브리지스, '반지의 제왕 3부작'의 백색 마법사 사루만과 '스타워즈 시리즈'의 두크 백작으로 유명한 크리스토퍼 리 등 쟁쟁한 캐스팅이 눈길을 끈다. 유니콘 역의 미아 패로우가 촬영당시 이미 37세의 비교적 높은 연령으로 순수하고 맑은 유니콘과는 괴리감이 있긴 하지만 감상에는 큰 무리가 없다 하겠다.

미국식 명쾌한 만화영화와는 조금 다른 느낌의 고전적인 전개와, 비글의 원작을 잘 살려낸 이국적인 탑 크래프트 애니메이터들의 캐릭터 디자인은 시간이 지난 지금에도 독특한 아름다움과 추억을 팬들에게 선사하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한국에서도 명절 특선으로 몇차례 방영되어 이질적이고 독특한 비주얼로 인해 강렬한 잔상을 남겨준 작품으로, 특히 작품의 주인공인 유니콘이 슈멘드릭의 실수(?)로 인하여 인간여성으로 변한 뒤의 모습은 왠만한 디즈니의 공주들을 능가하는 기품과 품격, 그리고 우아함을 보여주지 않았나 싶다.

특히, 실제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던 탑 크래프트 스튜디오는 후일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1982)'의 핵심 제작진으로 미야자키의 무국적 세계관을 실로 완벽하게 화면으로 이식하면서 유럽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통해 갈고 닦은 노하우를 십분 발휘하게 되며, 바로 이들을 주축으로 일본을 대표하는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가 탄생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기도 하다.

82년 극장개봉 이후 잊혀져 가던 이 작품은 유럽에서 DVD로 발매되면서 다시 좋은 반응을 얻기 시작했고 여세를 몰아 25주년 기념판으로 미국에서 다시금 DVD로 발매되어 좋은 평을 얻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원작자인 비글이 현 저작권자인 Granada International 측과 저작권료 문제로 법정싸움에 휘말려 있다는 점이다. 비글은 2000년도 이후, 이 작품의 DVD나 부가판권에 대한 일체의 수입을 Granada International 측으로부터 받은 것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2008년까지도 해당 저작권 문제는 명쾌하게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 라스트 유니콘, 독특한 매력의 이국적 판타지 (바로가기)

ⓒ Peter.S.Beagle / Granada International



<참고 사이트>

[1] The Last Unicorn (film), Wikipedia
[2] トップクラフト, Wikipedia Japan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Peter.S.Beagle / Granada International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