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야자키 하야오의 극장 아니메 시리즈>

1. 루팡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1979)
2.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 (1984)
3. 명탐정 홈즈 (1984)
4. 천공의 성 라퓨타 (1986)
5. 이웃집 토토로 (1988)
6. 마녀 배달부 키키 (1989)
7. 붉은 돼지 (1992)
8. 원령공주 (1997)
9.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
10. 하울의 움직이는 성 (2004)
11. 벼랑위의 포뇨 (2008)
12. 바람이 분다 (2013)

천공의 성 라퓨타 (1986), 天空の城ラピュタ / Castle in the Sky 


ⓒ 二馬力 · 徳間書店


<정보>

◈ 원작/감독/각본: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
◈ 작화감독: 탄나이 츠카사(丹内司)
◈ 미술감독: 야마모토 니죠(山本二三), 노자키 토시로(野崎俊郎)
◈ 원화두목: 카나다 요시노리(金田伊功)
◈ 원화: 마에다 마히로(前田真宏), 코사카 키타로(高坂希太郎), 콘도 카츠야(近藤勝也), 나쿠라 야스히로(名倉靖博)
◈ 음악/노래: 히사이시 조(久石譲) / 이노우에 마즈미(井上杏美)
◈ 프로듀서: 타카하타 이사오(高畑勲)
◈ 기획/제작: 야마시타 타츠미(山下辰巳), 오가타 히데오(尾形英夫) / 토쿠마 야스요시(徳間康快)
◈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 저작권: ⓒ 二馬力 · 徳間書店
◈ 일자: 1986.08.02
◈ 장르: 모험, 액션, 판타지
◈ 구분/등급: 극장판 / 초등생 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어두운 밤 한 척의 비행선이 하늘을 날고 있다. 정부 비밀조사단 소속의 이 비행선에는 묘령의 소녀가 갖혀 있었는데, 조사단 소속의 한 남자에게 무언가를 말하라는 위협을 받고 있는 중이었다. 한편 이 비행선을 공적(하늘의 도적) 도라 일당이 습격한다. 이들의 목적은 예의 그 소녀. 혼란을 틈타 소녀는 자신을 위협하던 그 남자의 옷주머니에서 펜던트를 빼앗은 뒤 비행선에서 탈출을 시도한다. 해적과 조사단의 사이에서 위태하게 비행선 벽에 매달려 있던 소녀는 발을 헏디디는 바람에 그만 비행선에서 떨어져 지상으로 추락하고... 엄청난 속도로 추락하는 소녀는 이내 정신을 잃고 말지만, 그 순간 놀라운 일이 벌어지고 만다. 소녀의 목에 걸린 펜던트가 강렬하도록 눈부신 푸른 빛을 내뿜자 소녀는 이내 그 빛에 감싸이면서 낙하하는 속도가 줄어들어 마치 깃털이 땅위로 내려앉듯 천천히 하강하게 된 것이다.

한편, 광산마을에서 견습기계공으로 사는 씩씩한 고아소년 파즈는 저녁 야식을 준비하러 바깥에 나오는 순간 이상한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하늘에서 왠 푸른 빛에 감싸인 무언가가 내려오는 것을 본 것이다. 푸른 빛에 다가간 파즈는 이내 그것이 한 소녀임을 알아보게 된다. 떨어지는 소녀를 붙잡은 파즈. 펜던트의 빛이 서서히 꺼지자 깃털처럼 가볍던 소녀가 갑자기 본래의 무게를 되찾고 만다. 가까스로 소녀를 구한 파즈. 과연 이 소녀는 누구이며, 펜던트가 가진 비밀은 무엇일까.


<소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1984)'에 이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번째 극장 아니메. 토쿠마 서점의 출자로, 85년 6월에 창립된 애니메이션 제작회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첫번째 극장 아니메로써, 후일 지브리의 신화의 서막을 연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하늘에 떠있는 신비의 도시 라퓨타를 무대로 하여 판타지와 스팀펑크가 공존하는 매력적인 세계가 일품이며, 하늘을 향한 동경, 기술 문명주의에 대한 경고, 유럽식 목가생활의 정겨운 묘사, 페미니스트적인 캐릭터 설정 등 나우시카에 이어 미야자키식 스타일을 다시 한 번 정립한 작품이다. 다만, 메시지에 좀 더 치중했던 나우시카와 달리 라퓨타는 어드벤쳐에 중점을 둔 미야자키식 오락물을 표방하고 있다. 이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첫작품으로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어야 한다는 토쿠마 서점의 기획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걸리버 여행기에 등장하는 하늘을 나는 섬 라퓨타를 모델로 하고 있으나, 하늘을 나는 섬이라는 컨셉 외에는 걸리버 여행기와 큰 유사한 점은 없다. 오히려 캐릭터나 일부 전개는 미야자키의 전작 '미래소년 코난(1978)'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다. 라퓨타로 가는 열쇠와 그 비밀을 간직한 소녀 시타는 태양 에너지의 비밀을 알고 있는 라오 박사의 손녀 라나를 연상시키며, 시타와 함께 험난한 모험에 뛰어든 소년 파즈는 역시 라나를 지켜주는 괴력의 소년 코난을 생각나게 한다. 여기에 라퓨타를 손에 넣으려하는 무스카는 인더스트리아의 행정국장 레프카를, 공적인 도라 일당은 다이스 선장과 바라쿠다호의 선원들과 비교된다. 라스트에 라퓨타를 손에 넣은 무스카에 대항하여 맨몸으로 싸우는 파즈의 모습은 거대 비행선 기간트를 손에 넣은 무스카와 기간트에게 맨몸으로 대적하는 코난과 유사하다.

어드벤쳐로서의 완성도는 상당히 높다. 스팀펑크적인 설정들이 적용된 도라 일당의 비행기와 비행선 타이거모스는 이전까지 보여준 미야자키의 메카닉과는 또다른 서민적인(?) 맛이 살아 있는데, 특히 겉으로는 모두가 두려워하는 공적이지만 실상은 비행선 안에서 빨래하고 요리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그들의 모습은 인간적이면서도 코믹한 매력이 있다. 타이거모스의 여자두목 도라의 경우는 미야자키의 모친을 모티브로 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후일 이들 공적의 모습은 미야자키의 '붉은 돼지(1992)'에서 다시 한 번 등장할 뿐만 아니라 '라스트 엑자일(2003)', '교향시편 에우레카 7(2005)', '망념의 잠드(2008)' 등을 통해 다른 형태로 여러번 오마쥬되기도 한다. 

☞ 하늘의 로망 공적, 그 흔적을 찾아서 (바로가기)

히로인인 시타는 나우시카와는 달리 좀 더 수동적이고 여성적인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는데, 이는 전작 코난의 라나나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1979)'의 클라리스로 이어지는 미야자키식 히로인의 또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특히 본작에서 어린 소녀인 시타에게 이성으로서의 감정을 느끼는 공적들의 모습에서는 왠지 모르게 미야자키의 로리타적 취향이 느낄 수 있다고 하겠다. 이와 함께 라스트에 펼쳐지는 무차별한 인명살상 장면 역시 전 연령가 가족 만화영화로서는 다소 적절치 못한 장면이 아닌가 싶은데, 직접적인 살상장면의 묘사는 없지만 아무렇지도 않게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대량살상 장면은 후일 미야자키가 감독한 뮤직비디오 'On Your Mark(1995)'에서도 다시 한 번 엿볼 수 있다.

고대 초문명의 비밀을 간직한 소녀, 그리고 그녀를 도와주는 정의감 넘치는 소년, 그들을 쫓는 비밀 조직 등 라퓨타의 일련의 테마는 안노 히데아키의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1990)'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이는 애초에 TV 시리즈로 제작할 목적으로 미야자키가 NHK에 제출했던 기획안이 실현되지 못하자 이를 미야자키가 라퓨타의 스토리 원안으로 가져다 쓴 것을 십수년이 흐른 뒤 자사에 남아있던 미야자키의 기획안을 바탕으로 NHK가 가이낙스에게 작품을 의뢰했기 때문이었다. 

ⓒ 二馬力 · 徳間書店

엔터테인먼트와 교훈적 측면에서 적절한 밸런스를 갖춘 수작이지만 흥행은 기대 이하로 저조했다. 라퓨타가 벌어들인 흥행수익 5.83억엔([4] 참조)는 지브리 역대 흥행성적 중 가장 낮은 것이기도. 이는 당시 미야자키나 스튜디오 지브리의 네임밸류가 그만큼 대중들에게는 생소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하지만 낮은 흥행성적과는 달리 애프터 마켓에서는 폭발적인 반응을 얻게 되는데, 1988년의 니혼 TV 방송에서는 12.2%의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1989년의 금요 로드쇼에서는 22.6%의 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TV 재방송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비디오 소프트 시장에서도 선전하며 지금까지도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 셀러로서 자리매김하게 된다. 여기에 제41회 마이니치 영화 콩쿨 오후지 노부로 상, 제9회 월간 아니메쥬 아니메 그랑프리 작품상, 제4회 일본 아니메 페스티벌 아니메 대상/아톰상/미술부분 최우수 상 등 86년도의 숱한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나우시카에 이어 다시 한 번 작품성을 인정받기에 이른다. 여기에 키네마 준보 86년도 베스트 10 일본 영화 8위/독자선정 일본영화 2위에 오르는 등, 저조한 흥행성적과 달리 평단과 관객은 라퓨타의 진가를 인정해준 셈이었다.([1] 참조)

일본 내에서의 극찬을 받으며 89년에는 스트림라인 픽쳐스를 통해 영국에서, 2003년에는 디즈니를 통해 미국에서 개봉되었다. 미국 개봉당시에는 원제인 라퓨타가 스페인어로 창녀를 의미한다는 지적이 있어 'Castle in the Sky'로 제목이 변경된다. 2004년 4월30일에는 CJ를 통해 한국에서도 개봉되었으나 흥행성적은 그다지 신통치 못했다. 영화의 완성도나 모든 면에서 탑클래스의 수작임에는 분명하지만 왠지 모르게 극장 흥행과는 거리가 멀었던 비운의 작품이기도 하다.


<참고 사이트>

[1] 天空の城ラピュタ, Wikipedia
[2] 天空の城ラピュタ(1986), allcinema.net
[3] 천공의 성 라퓨타, 엔하위키 미러
[4] 천공의 성 라퓨타(天空の城ラピュタ) 1986 by 캅셀, CAPSULE 블로그: 총천연색 리스트 제작위원회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二馬力 · 徳間書店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 본 리뷰는 '엘렌 실:라 루:멘 오멘티엘보 at NAVER'의 '기신병단 (1993), 애매한 역사관과 복고주의가 뒤섞인 스팀펑크 액션물'을 본 블로그로 옮긴 글입니다.

기신병단 DVD 표지© 山田正紀 / 中央公論社 / PIONEER LDC, INC


<스탭>

◈ 감독: 이시야마 타카아키
◈ 원작: 야마다 마사키  
◈ 제작: 은하제국, 파이오니어 LDC


<시놉시스>

2차 세계대전 중, 미지의 외계인과의 전투를 대비하여 통칭 ‘모듈’을 만든 다카무라 박사는 이를 노리는 관동군 대좌 신타이와 외계인의 습격으로 목숨을 잃는다. 미녀 의사 마리아 브라운에 의해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다카무라 박사의 아들 다이시는 ‘모듈’을 간직한 체 거리의 아이들과 살아가지만, 전란의 소용돌이는 다이시를 가만히 두지 않는다. 

한편, 마리아의 쌍동이 언니 에바 브라운은 모듈을 연구하는 과학자로서 다카무라 박사가 남긴 모듈을 되찾기 위해 관동군에 협력하고 있었다. 마리아라고 믿었던 에바에게 아이들은 모듈을 빼앗기게 되고, 바로 그 시각 하늘에서는 보라색 빛과 함께 외계인들의 침입이 시작된다. 관동군과 외계인의 위협 속에 절체절명 놓인 다이시, 바로 그 순간 지축을 울리는 거대한 굉음과 함께 거대로봇 뇌신이 모습을 드러낸다.



1. 작품이 만들어지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

기신병단은 90년대 초반 일본 아니메의 침체기가 시작되면서 유행처럼 번졌던 복고주의 작품 중 하나로,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여 복고적 그림 스타일, 스팀펑크적인 느낌이 물씬 나는 메카와 중량감 넘치는 액션씬, 그리고 유럽과 중국 등 전세계를 누비는 방대한 스케일의 로봇 액션물입니다.  

7~80년대 대호황기를 누리던 일본경제의 거품이 꺼지면서 경기침체가 발생하던 90년대 초반, 아니메 시장 역시 시장의 포화, 컨텐츠의 부족이라는 업계의 상황이 맞물려 시장이 축소되기 시작했는데, 결국 이것은 흥행이 보장되는 그만그만한 작품들이 일색인 상황으로 연결되기 시작합니다. 바로 그 시기가 90년대 초반인 것이죠. 시기적 특성상 90년대 초반에는 그다지 주목을 받을만한 새로운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보다는 이전에 인기를 끌었던 스타일이 다시 주목받는 복고주의가 유행처럼 번지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새로이 만들어 낼 컨텐츠의 부족도 있었겠지만, 호황기였던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일본인들의 정서도 어느 정도 반영되지는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복고주의 열풍으로 이전에 흥행했던 작품들을 리메이크 하거나 그 속편을 만드는 사례가 늘어나게 됩니다. ‘바벨 2세(1992)’, ‘철인 28호 FX(1992)’, ‘마크로스2(1992)’, ‘마크로스7(1994)’, 마크로스 플러스(1994)’, ‘플란다스의 개(1992)’, ‘신조인간 캐산(1993)’, ‘요술공주 밍키(1993)’, ‘더티 페어 플래쉬(1994)’, ‘독수리 5형제(1994)’ 등은 모두 이런 복고주의와 리메이크의 바람을 타고 제작된 7~80년대의 인기작들이었죠. 이러한 현상은 95년 신세기 에반게리온이 등장하기 전까지 일본 아니메를 지배하며 아니메 업계에 기나긴 어둠의 그림자를 드리우게 됩니다. 

삽입그림1

90년대 복고주의 대표작 '자이언트 로보'(좌).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원작으로 90년대 복고주의 리메이크 작품 중에서는 단연코 걸출한 작품. 70년대의 초히트작 '독수리 5형제'를 우메츠 야스오미가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감독으로 새롭게 리메이크 한 '독수리 5형제(1994)'(우).


2. 거대한 스케일의 복고주의 메카 애니메이션

'기신병단'은 90년대 초반 복고주의 열풍의 선두에 섰던 작품 중 하나인 '자이언트 로보(1991)'와 여러 곳에서 유사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시나리오나 연출방식은 전혀 다르지만, 이 두 작품은 그동안 일본 애니메이션에 등장해오던 늘씬하고 멋진 로봇이 아닌, 육중하고 투박한 스타일의 로봇이 등장하여 건담으로 대표되던 80년대의 리얼로봇과는 다른 또다른 기계적인 리얼함을 보여줍니다.

각각 뇌신, 풍신, 용신으로 불리는 ‘기신병단’의 로봇들은 전차, 비행기, 그리고 잠수함에서 모티브를 가져와 지금까지 일본 만화영화에서 익히 보아오던 인간형 로봇과는 달리 병기나 기계의 느낌에 가깝습니다. 게다가 2차 세계대전 중이라는 시대적 배경에 걸맞게 수동으로 엔진을 돌리고 발전기가 최고치에 다다를 때 동작하는 로봇의 모습은 와다 카오루의 웅장한 음악과 어울려 고풍스러운 멋을 보여주고 있구요. 그 외에도 ‘기신병단’의 이동수단인 중갑 기관차, 대형 프로펠러 수송기, 뇌신의 조종사 바레이오가 운전하는 클래식 자동차 소백룡 등, 작품 내내 복고주의적 향수를 일으키는 메카들은 시종일관 클래식한 멋스러움, 즉 스팀펑크 스타일의 멋을 선사합니다. 

스케일이 큰 연출 역시 이 작품의 또다른 매력입니다. ‘자이언트 로보’에 버금갈 정도로 많은 나라를 누비면서 벌어지는 주인공들의 모험은 2차 세계대전이라는 시대 배경과 어울려 스펙타클한 재미를 선사합니다. 거기에 수상 프로펠러 비행기에서 연인을 향해 던지는 스카프 씬이라든지, ‘인디아나 존스’의 한 장면 같은 아시아 어느 도시의 한 복판에서 펼쳐지는 자동차 추격씬 등은 스팀펑크스러운 메카 액션씬 사이사이에 펼쳐지면서 감칠 맛나는 애피타이저의 역할을 해줍니다. 

그 와중에도 만화적인 연출(뇌신의 조종사 바레이오의 자동차 액션씬이나 주인공 다이시의 자전거 씬 등에서 보이는 함축과 과장의 대표적 만화적 연출)을 잃지 않음으로 인해 저 옛날의 ‘바벨 2세’나 ‘사이보그 009’ 등과 같은 모험 아니메에서 느끼던  것과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라고 할까요. 이렇게 작화와 연출은 아동용 스타일인데 비해 작품의 배경이나 이야기의 전개는 성인들도 보기에 무난한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전체관람가로 아주 적절한 작품이라고 하겠습니다. 즉, 대중적인 오락물로서의 요건을 거의 다 갖춘 셈인 것이지요.

삽입그림2© 山田正紀 / 中央公論社 / PIONEER LDC, INC

기신병단의 주역메카들. 좌측부터 뇌신(육전형), 풍신(공중형), 용신(수중형). 조종사가 탑승하면 바로 눈에 불이 들어오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정비사들이 각 부의 엔진을 일일이 수동으로 가동시키고 엔진예열이 끝나야지만 비로소 움직일 수 있다.


3. 침략행위가 슬그머니 축소되어 버린 안스러운 설정

(최고의 수준은 아니지만) 좋은 퀄리티의 작화와 음악, 멋진 메카들의 박진감 넘치는 액션, 그리고 큰 스케일의 대작임에도 불구하고, ‘기신병단’은 한가지 점에서 우리를 당혹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 작품이 일본의 태평양 전쟁을 왜곡하고 있는 듯한 느낌 때문입니다. 1화의 시작부터 일본의 대륙침략에 대해 격한 논쟁을 벌이는 엑스트라들의 대사는 현대 일본인들의 침략전쟁에 대한 사죄일까요. 아니면, 일본의 역사적 오점을 미화하는 모습일까요. 

혹자는 제국주의적 성향이 강한 작품이라고 이 작품을 평하기도 하지만, 제 생각은 선대의 잘못을 후대에서 잘 각색하여 이를 인정하기는 하지만 그것을 솔직하게 반성하기보다는 다른 이들에게 혐오감을 주지 않도록 최대로 미화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나치스, 관동군, 에일리언과 싸우는 ‘기신병단’의 멤버의 중요인물들이 모두 일본인이라는 것은 특히나 과거의 역사를 어떻게든 지워버리고 싶은 일본인의 욕구의 발로가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그러나, ‘기신병단’은 분명 기존의 일본의 침략전쟁의 역사를 다룬 작품들 중에서는 꽤나 이 부분에 있어서 인정을 하는 편입니다. 그렇지만, 침략전쟁의 주원인을 나치스로 돌리고, 일본을 부각시키기 보다는 관동군이라는 일개 군대에 그 잘못을 모두 돌려버리는 점이라든지, 관동군의 주 활동무대가 만주, 즉 실제 침탈을 행했던 아시아 쪽이 아닌 유럽 쪽에 치중되어 있는 것, 나치스와 에일리언의 입장은 세밀하게 묘사하면서도 일본에 대한 언급은 빠진 체 관동군의 주요 간부인 신카이 대령과 그의 몇몇 부하들만 집중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한계 역시 보이고 있지만 말입니다. (자기네 손으로 자기네 나라를 악으로 규정 짓기에는 아직 마음에 준비가 필요했었던 때였나 봅니다. 지금도 안되긴 하지만.) 

☞ 다음 단락은 약간의 스포일러가 포함됩니다. 

거기에 재미있는 사실은 작품 종반에 등장하는 원폭투하에 관한 이야기 인데, 최초의 원폭은 일본의 히로시마에 투하되는 것이 역사적 사실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원폭투하라는 역사적 사실은 등장시키되 이를 일본이 아닌 나치스의 영토에 위치한 에일리언 기지에 투하하려 함으로써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작품에서 원폭이라는 단어 역시 사용하지 않고 폭탄의 코드네임인 ‘글래머 걸’이라는 명칭만 사용합니다. ‘글래머 걸’은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폭의 코드네임이죠.)

삽입그림3© 山田正紀 / 中央公論社 / PIONEER LDC, INC

몇가지 확인하고 싶은 대사들. 그림(좌)의 '만주를 꿈의 대룩이라고 믿고...'에서 꿈이란 것은 일본의 대륙진출을 의미하는 것일까? / 그림(중앙)의 '쓸데 없는 싸움이...'이라는 대사는 한국과 중국의 침략에 대한 일본의 생각을 반영한 것일까? '뿐이잖아'라는 대사가 몹시 거슬린다. / 마지막 그림(우)의 대사에는 아까와는 달리 일본의 침략전쟁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들어있지만, 피해를 입힌 상대국에 대한 사죄의 마음은 찾아볼 길이 없다.

삽입그림4© 山田正紀 / 中央公論社 / PIONEER LDC, INC

또 다른 의문들. 그림(좌)의 '하얼빈에는 731 특제 자백제...'라는 대사는 731 부대의 존재와 인체실험을 인정하는 발언? / 그림(중앙)의 나치스의 동맹이었음을 시사하는 '동맹국인 일본도 그 작전에 참가해줘야 겠다.'는 작품 내에서 몇 안되는 일본의 전쟁 참여사실 인정발언. / 그림(우)의 '나치와 일본은 동맹국이다.'라는 대사 역시 좀전의 대사에 이어 다시금 2차 대전의 전범국이었음을 인정하는 대사. 작품의 종반부에 이르러 제작진도 일본의 침략전쟁 사실을 인정하기 시작하는 듯. 


4. 껄끄러운 역사적 배경이 깔린 흥미로운 스팀펑크 액션?

재미있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불편한 역사적 상황과 애매한 일본의 태도가 엿보인 이 작품 ‘기신병단’은 우리나라에서도 몇 번씩 케이블 TV를 통해 방영된 적이 있습니다. (영어로 된 오프닝/엔딩 크레딧을 보니 수출 염두에 두었거나, 후에 수출이 된 작품이라는 생각은 듭니다만.) 제 경우에는 이러한 작품을 통해 태평양 전쟁에 대한 일본인들의 인식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나름 의미가 있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이런 팩션(Fact[사실]+Fiction[소설]의 합성어)류의 작품의 경우, 그 사실 왜곡 여부에 있어서 가끔 논란의 여지가 생기기도 합니다. 더군다나 태평양 전쟁 같은 근대의 역사의 경우에는 일본의 침탈을 받은 나라의 입장에서는 그 정도가 심한 것은 당연한 사실이겠죠. 그래서 그런지 이 작품에서 중국의 대한 언급은 가급적 회피하고 있으며, 한국의 이야기는 아예 배제가 되어 있습니다.

일본 아니메의 경우는 현재 정상적인 루트가 아닌 P2P와 불법복제물을 통해 상당부분이 우리에게 접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성인이 된 분들이나,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아직 역사의식이 정립되지 않은 팬들에게는 이렇게 노골적인 왜곡이 아닌 가벼운 왜곡과 역사적 진실이 슬그머니 덮여진 작품이 오히려 안 좋은 건 아닐까 하는 노파심도 가져 봅니다. 

삽입그림5© 山田正紀 / 中央公論社 / PIONEER LDC, INC

그 외의 재미있는 것들. 그림(좌)에 등장하는 알버트 박사는 외모도 그렇고 바이얼린을 즐겨 연주하는 데다가 E=mc²라는 공식까지 쓴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이 양반은 과연 누구일까요? / 그림(중앙)의 대사  '글래머 걸은 나치스의 에일리언 기지에 투하하는 것이 결정되었습니다.'라는 대사. 원폭투하는 일본인에게 있어서는 만화영화로 재현되기에도 너무 쓰라린 현실인 듯 싶다. 투하장소를 슬그머니 바꿔주시는 제작진... / 그림(우)의 일본 대신 원폭에 맞을 위기에 처한 에이리언들. 명색이 에일리언인데 따발총이 왠말인가. 보통 따발총이라면 소련제 기관단총을 말하는 것인데... 그럼 혹시, 댁들 공산주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