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디오전사 레자리온 (1984), ビデオ戦士 レザリオン / Video Warrior Laserion


ⓒ TOEI Animation


<정보>

◈ 원작: 얏테 사부로
◈ 감독: 모리시타 코죠
◈ 각본: 사카이 아키요시, 슈도 타케시, 우에하라 쇼죠 外
◈ 캐릭터 원안/디자인: 이무라 신지 / 모토하시 히데유키
◈ 메카닉 디자인: 무라카미 카츠시, 오하타 코이치, 히오 아키라
◈ 작화감독: 모토하시 히데유키 (1화), 오치 카즈히로
◈ 미술설정: 우치카와 후미히로
◈ 음악/노래: 와타나베 츄메이 / 미야우치 타카유키 (오프닝), 카오리 쿠미코 (엔딩)
◈ 기획: 오리타 이타루, 요시카와 스스무
◈ 제작사/협력사: 도에이 동화, ADK / 대원동화, 세영동화
◈ 저작권: ⓒ TOEI Animation
◈ 일자: 1984.03.04 ~ 1985.02.03
◈ 장르: SF, 로봇, 액션
◈ 구분/등급: TVA (45화) / 초등생이상 관람가 (PG)


<시놉시스>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구 클린화 정책'의 일환으로, 산업폐기물과 불순분자들이 화성과 달로 폐기되거나 추방된다. 달로 추방된 과학자 고드하이드는 지구에 앙심을 품고 불순분자들을 모아 반란군을 결성한 뒤 지구를 향한 반격을 개시하기 시작한다. 지구군 역시 달의 반란군을 맞아 싸우기 위해 블루하임 박사의 주도로 먼 달까지 순식간에 무기를 이동할 수 있는 물질전송 시스템을 개발한 뒤 역사적인 기동실험을 전세계에 중계하기 시작한다.

한편, 컴퓨터 마니아인 카토리 타카시는 미국에 있는 친구와 네트워크(전화기로 네트워크가 되는 걸 보니 모뎀통신인가! 아, 대용량 데이터가 전송되니 vDSL?)를 통하여 컴퓨터 게임에 열중하고 있었다. 게임을 위하여 타카시는 자신이 직접 프로그래밍한 로봇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이 그만 물질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와 혼선되면서, 물질전송에 사용되어야할 비행기 대신 타카시가 디자인한 컴퓨터 상의 로봇이 실체화 되고 만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실체화된 환상의 로봇. 레자리온, 이것이 꿈의 로봇이다.


<소개>

'마징가 Z(1972)' 이후 12년을 지속해오던 도에이 로봇 신화의 마지막을 장식한 작품이다. 아울러, '초전자로보 콤배틀러 V(1976)'를 통해 특촬물을 넘어 로봇 아니메까지 진출했던 도에이의 프로듀서 필명 얏테 사부로의 마지막 로봇 아니메 참가작이기도 하다. 컴퓨터로 디자인한 로봇이 실체화 된다는 점에서, 요즘 흔히들 의미하는 가상현실의 컨셉이 도입된 선구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동시기에 디즈니에서 제작된 영화 '트론(1982)'과도 비교된다고 하겠는데, 실제 인간이 컴퓨터 세계로 들어가 벌이는 트론의 이야기가 가상현실을 모티브로 했다면, 컴퓨터 속의 로봇이 현실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레자리온은 엄밀히 말하면 증강현실에 보다 더 가까운 모습이라 하겠다. 이는 레자리온보다 1년 앞서 ABC를 통해 방영된 드라마 '오토맨(1983)'의 컨셉과 상당히 비슷하다. 어쩌면 레자리온의 스토리 컨셉은 오토맨의 그것에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레자리온은 그 설정에 있어서 몇가지 미래지향적인 모습이 눈에 띄는데, 우선 인터넷이나 데이터 통신은 커녕 컴퓨터에 대한 인식이 그다지 높지 않았던 84년에 네트워크를 통해 멀리 떨어진 미국의 친구와 게임을 하는 타카시의 모습이라든지, 일상 생활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는 등의 모습은 분명 당시보다 십수년 뒤의 세상을 정확히 예측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레자리온의 무기가 전송되지 않는 등, 일부 설정에서는 여러모로 현실적인 면을 고려한 점이 눈에 띈다. 스토리 역시 달로 추방된 지구인들이 지구를 위협하는 반란군으로 등장하는 등, 기존의 도에이 슈퍼로봇 아니메에 비해서는 성숙한 설정으로 무장하고 있다.

여러가지 성숙한 설정에 비하여 실제 이야기 구조는 당시의 리얼로봇에 비해서는 드라마적인 성격이 부족한 저연령대의 작품이 되었다. 시청률의 문제였는지 혹은 다른 문제였는지는 몰라도 고드하이드 박사를 주축으로 했던 반란군들의 이야기는 1부를 끝으로 퇴장하고 2부부터는 외계인 세력인 쟈크 제국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는 도에이 동화가 지향하는 시청층이 리얼로봇 드라마를 보는 고연령대의 청소년보다는 저연령대의 아동에 한정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상당수 작화에서 당시 수많은 도에이 동화의 애니메이션을 하청 받아오던 한국의 대원동화(現 대원씨아이)가 맡아온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초중반부에는 아예 작화감독에도 일본 스탭이 참여하지 않고 한국 스탭만으로 해결해 나가는 등 그 비중이 이전의 참여작보다 더 컸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당시 한국의 작화수준이 이미 일본 아니메의 평균 수준에 근접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반면, 도에이 동화의 마지막 로봇 아니메에 이토록 한국 하청인력이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보아 작품의 제작 초반만 하더라도 도에이는 로봇 아니메에서 손을 뗄 생각이 없었던 것은 아닐까 추정해 본다. 로봇 아니메에서서 손을 떼기로 결정된 중후반부부터는 다시 일본 스탭들과 작화감독들이 투입되어 대미를 장식하게 된다.

ⓒ 대원씨아이... 그런데, 도용작도 저작권을 줘야하는건가?

메카닉 디자인은 초합금 시리즈 등으로 일세를 풍미한 전설적인 완구 디자이너 무라카미 카츠시가 담당하였다. 무라카미 외에 오오하타 코이치, 히오 아키라 등 도에이의 전작 '광속전신 알베가스(1983)'의 스탭들도 메카닉 디자인으로 참여했는데, 여기에 무라카미가 참여했던 '우주대제 갓시그마(1980)', '기갑함대 다이라가XV(1982)'와 함께 알베가스의 복잡하고 세밀한 디자인 컨셉은 레자리온에게 음으로 양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프닝이나 등장 씬 등 일부분에서는 CG를 활용한 뱅크샷이 사용되어 참신함을 주었고, 일반적인 기계식 조종이 아닌 컴퓨터 키보드를 활용한 전자식 조종과 같이 메카닉적 측면에서 다른 작품들을 두세발 앞선 미래지향적 모습을 보여주었다. 적어도 설정에 있어서는 지금까지도 회자 될만한 이슈를 가진 작품이라 하겠다.

반면, 레자리온의 경우는 한국과는 잊지 못할 악연을 갖고 있는데, 만화영화 팬들이라면 이제는 많이들 알고 있을 하청업체 대원동화의 셀 도용사건이 바로 그것이다. 대원동화는 원작의 컷으로 사용되던 일부 셀을 무단으로 빼돌린 뒤 이를 독자적으로 편집하여 '비디오레인져 007(1984)'이라는 제목으로 극장에 상영하는 지금으로선 상상하기 힘든 일을 저지르고, 한국 극장만화영화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작화 퀄리티로 이 작품은 당시 어린이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게 된다.

결국 뒤늦게 사실을 눈치 챈 도에이 동화의 항의로 인해 소리 소문도 없이 그 자취를 감춰버린 이 희대의 사건(관련인물들이 사법처리를 받았던 것으로 들려오고 있음)은, 디자인과 설정을 일본 아니메에서 무단 도용하던 당시의 한국 애니메이션계의 현실을 감안해도 그 죄질이 상당히 나쁜 것이었다. 이로 인해 한국 창작 애니메이션계와 당시 어린 만화영화 팬들에게 끼친 악역향은 이루 말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당시 엘로스도 이 작품을 끝으로 한국 극장애니메이션을 더이상 보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물론, 이유는 이것 하나만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 괴작열전: 비디오레인져 007 by 페니웨이™, 페니웨이™의 IN THIS FILM (클릭)

한편, 레자리온을 끝으로 로봇 아니메에서 완전히 손을 뗀 도에이 동화는 자신들의 성장동력을 로봇 만화영화가 아닌 다른 장르에서 찾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80년대 출판만화계를 뒤흔들던 두 작품 '북두의 권'과 '드래곤 볼'이었다. 도에이가 손을 뗀 로봇 만화계에서는 선라이즈의 독주가 시작되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84년을 즈음으로 로봇 만화영화는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하게 된다.

☞ 레저리온 시리즈 by Gackd, Gackd의 고전만화 연구소 (클릭)

레자리온의 스페인판(?) VHS 커버. 스페인에서 자체적으로 그려진 일러스트라 원작과는 달리 슈퍼히어로적인 일러스트가 이채롭다.



<참고 사이트>

[1] ビデオ戦士レザリオン, Wikipedia Japan
[2] 비디오전사 레자리온, 베스트아니메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각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