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로이저 X (1976), グロイザーX / Gloizer X


ⓒ Ota Gosaku · Knack

 
<정보>

◈ 원작: 오우타 고사쿠
◈ 총감독: 타이센지 히로시
◈ 감수: 나가이 고
◈ 시리즈 구성: 안도 토요히로
◈ 캐릭터 디자인: 스즈키 타카오
◈ 작화감독: 다나카 에이지, 長谷川憲生
◈ 음악: 가와치 쿠니 (OP,ED 작곡) / 이케다 코우 (노래)
◈ 제작: Knack, 동경12채널
◈ 저작권: ⓒ Ota Gosaku · Knack
◈ 일자: 1976.07.01
◈ 장르: SF, 로봇, 액션
◈ 구분/등급: TVA (39화) / 전체연령가 (G)


<시놉시스>

북극에 전진기지를 갖춘 이성인 가이라 제국이 겔돈 제왕의 명에 따라 지구 침공을 계시한다. 반전파인 가이라별의 천재과학자 얀박사는 자신이 만든 공폭로봇인 그로이저 X에 딸인 리타를 태워 가이라 제국에서 탈출을 시도하지만 그로이저 X와 딸인 리타만이 탈출에 성공하게 된다. 지구로 불시착한 리타는 토비시마 박사의 민간 항공사에 의해 구조되고, 가이라 제국의 침략을 전해들은 토비시마 박사는 팀의 에이스 파일럿인 카이사카 죠를 리타와 함께 그로이저 X에 태워 가이라 제국의 침략에 맞서게 한다.


<소개>

'아스트로 강가(1972)'에 이은 Knack의 두번째 로봇 아니메. 다이나믹 프로 출신으로 나가이 고의 어시스턴트이기도 했던 오우타 코사쿠의 코믹스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과거 Knack의 첫번째 로봇 아니메였던 아스트로 강가는 TV 시리즈 최초의 로봇 아니메였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두 달 뒤에 방영된 나가이 고의 '마징가 Z(1972)'의 폭발적인 인기에 밀려 잊혀졌던 일화가 있다는 것. 일본판 위키에는 나가이 고가 감수를 맡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정작 본인은 그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고 묘사되어 있는데, 오우타 코사쿠가 다이나믹 프로 출신임을 감안하면, 비공식적으로도 어느 정도 도움을 받지 않았나 싶다. 당대 로봇 아니메에서 독보적인 명성을 자랑하고 있던 나가이 고였기에 제작진 측에서도 그 이름을 빌리는 것이 시청률에 도움이 되리라는 판단에서 넣지 않았나 싶은 추측도 해볼 수 있다.

외계인이 만든 최고의 로봇이 외계인을 배신하고 지구인의 편에서 싸운다는 설정은 Knack의 이전 작인 아스트로 강가의 컨셉과 비슷하면서 동시에 나가이 고의 'UFO 로봇 그렌다이저(1975)'와도 유사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설정은 당시 아동물에서 상당히 극적인 요소를 부여하기에 자주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비행기에서 로봇으로 변신한다는 그로이저 X의 공폭(공중폭격기)로보의 개념은 UFO에서 로봇으로 분리되는 그렌다이저와도 비교되며 어느 정도 영향을 받지 않았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다만, 동시기에 등장한 '초전자 로봇 콤배틀러 V(1976)'에 비하여 조악한 변신 메커니즘이나 부족한 드라마 등 여러 면에서 콤배틀러 V에 비교되면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컨셉 자체가 마징가 Z에서 이어져온 작품인지라 컴배틀러 V로 인해 높아진 아이들의 눈높이에는 맞지 않았던 셈이다. 어찌보면 다이나믹 프로 계열의 작품과 선라이즈 계열의 작품이 맞부딛힌 결과로 볼 수 있는데, 76년이 로봇 아니메의 트렌드가 변화하는 길목이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2009년 이마가와 야스히로의 최신 마징가 시리즈 '진 마징가, 충격의 Z편(2009)'에서 기계수 중 하나로 그로이저 X가 잠시 등장하기도 하는데, 오우타 코이치와 나가이 고, 그리고 다이나믹 프로와의 관계를 알고 나면 납득이 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진 마징가에서 그로이저 X를 보고 깜짝 놀라신 분들 당시에 많았다고 전해진다. 눈썰미가 없는 엘로스는 눈치도 못챘지만.)

유럽에 출시된 그로이저 X DVD 커버. 나가이 고와 마징가의 유명세를 이어가기 위해 마징거 X라는 명칭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아차, 빼먹은 거 한가지. 그로이저 X의 남자 주인공 성우는 후루야 토오루(건담의 아무로 레이 성우)가 맡으셨다는.


<참고 사이트>

[1] グロイザーX, Wikipedia Japan
[2] Gloizer X, Wikipedia

※ 포스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권리는 ⓒ Ota Gosaku · Knack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